본 연구는 주요 사회 현상 중에 하나인 관광에 대하여 사회적 구성의 관점에서 사회구성원들이 어떠한 의미로 관광을 담론화하는지 관광의 소비문화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관광은 사회문화의 일부분으로서 사회적 구성의 공간화로 담론화되어 소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광현상은 특정 공간이 어떠한 사회적 의미로 부각되면서 새롭게 구성되는 ‘공간의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 of space)’이라는 맥락 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관광은 사회구성원, 개개인의 선택이라기보다는 사회적 구성 하에 담론화되어 형성된 이미지와 기호, 상징적 의미를 소비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관광자는 끊임없이 상품화되고이미지화되어 상징성을 부여하는 관광목적지를 확인하고자 하며, 기호화된 가치를 체험하고자 기대한다. 따라서 관광자의 인식과 행동은 사회적 구성으로 담론화된 일종의 코드이며,관광대상을 보는 관광자의 시선은 사회적 구성 하에 형성된 담론에 의해 길들여진 조작적욕구로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관광은 소비문화로서 남과 다른 차별화로 구분하려는 소비성향과 양식으로 관광을 통한 문화적 구별 짓기로 설명할 수 있다. 한 마디로 관광은 관광주체와 객체, 매체 간의 의사소통 과정으로 사회적 구성 하에 담론화된 이미지, 기호와 상징을재확인하려는 의식적인 소비활동이다.
영어초록
The tourism of today is symbolic consumption activities and the images and values of tourist destinations are socially constructed. The images of places were transformed to the symbolic marks by the effects of social environments, consumption cultures, and mass media. They obviously mean the discourses and social construction of space. This study probes into the process of social construction of a tourist destination through the consumption culture and discourse toward tourism.
We suggest the point of social constructive view that a tourist destination is the result of social constriction reflected with beliefs or values of members in a society. Considering tourist destinations, people are affected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by the discourse that consists of printed materials, mass media, the Internet, and visual discourses. The media provides information and knowledge to people and produces discourses. For social construction of a tourist place, the discourse might be supplied by the media. The discourse on a tourist destination is shaped in different interactions along the processes of tourists’ experiences. Even now, the social construction of tourism as a social phenomenon is made by consumption cultures and discours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