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및 인터넷에서만 방영된 19대 총선 관련 뉴스에 대한 대학생집단의 뉴스가치 평가에 대한 탐색적 연구 뉴스 공정성 개념을 중심으로 (A Exploratory Study on College Students’ Evaluations of 19th General Election News Values not Reported in Terrestrial Broadcasters but Reported in Internet Media Focusing on Fairness Concept of New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뉴스가치 평가를 바탕으로 지상파뉴스의 공정성 정도를 진단해 보고 그에 따른 정치성향별 차이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대총선기간 중 지상파 메인뉴스와 인터넷 ‘가장 많이 본 뉴스’의 선거 관련 뉴스 중에서 지상파에서만 보도된 뉴스와 인터넷에서만 보도된 뉴스의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은 지상파가 배제한 뉴스의 가치를 지상파가 선택한 뉴스가치보다 높게 평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특히인터넷에서 높은 관심을 받은 여당 관련 뉴스가 지상파에서 보도되지 않았을 때 이를 불공정의 한 범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보도할 만한 가치가 없다는 평가를 받은 뉴스에 대해서는 보수와 진보의 정치성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뉴스가치 평가를 방송뉴스의공정성 평가에 접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채널 다미디어 환경에서 지상파뉴스의 공정성 평가방식에도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fairness of news is a multi-faceted concep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lpore the possibility that audiences’ evaluations of news values can be included in the concept of fairness of news. For this purpose,we conducted the survey to evaluate the values on 19th General Election news that were reported not in Terrestrial Broadcasters’ news programs but in internet media(eg. portal or sns etc.).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evaluated the values of internet media news higher than that of Terrestrial Broadcasters news. And also the evaluations of news values differed depending on the political positions (liberal-conservative).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news evaluations depending on political positions in case of the news without reporting valu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