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서 음악문화교육을 위한 제재곡 선정 및 지도 방안 연구-자장가와 아이 어르는 소리를 중심으로- (Study of Subject Matter Song and Educational Contents for Music Education at Primary Schoo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음악문화 교육을 위하여 자장가와 아이 어르는 소리를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재곡을 선정하고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민요대전에 수록된 102종의 자장가와 아이 어르는 소리 중 초등학교에서 다루기에 무리가 없는 곡을 선별하여 초등학교 수업시간에 활용하기 적합한 형태의 악보를 제시하였고,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근거로 지도 학년을 제안하였다. 지도 내용은 ‘제재곡 중심 수업’과 ‘주제 중심 수업’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제재곡 중심 수업에서는 노래를 익히고 노래를 통해 그 쓰임과 문화를 알 수 있도록 하였고, 주제 중심 수업에서는 음악의 쓰임 및 그 속에 담긴 문화에 관심을 가지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지도 순서를 고안하였다. 또한 가사에서 나타나는 문화와 각 노래들의 연행 형태 등 수업에서 필요한 이야기 자료를 고안하였으며, 아시아 지역의 자장가도 채보하여 제시하고, 수업 형태에 따른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우리 전통 음악에서 자장가와 아이 어르는 소리가 초등학교에서 교육하기에 충분하며, 다른 나라의 자장가도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자장가와 아이 어르는 소리는 음악 교육적 측면에서 뿐 아니라 문화 교육, 음악의 생활화 측면에서도 활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choose subject matter songs as lullaby and baby dandling songs so that they can be applied in school fields for the music education of primary school and to present educational contents. For that, I presented a piece of natural music that is easy to manage at primary school after sorted the music, which is appropriated in form to be applied in primary school among 102 lullaby and baby dandling songs is to be recorded as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and the suggested teaching grade based on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Teaching contents are classified by ‘Subject matter song-based music learning’ and ‘Theme-based learning’. In the subject matter song-based music learning, I suggested to learn songs and know the usage and culture of the song and then in the theme-based learning, I devised teaching order focused on taking interest in usage of music and the culture of the music. Also I devised story materials required in teaching like the culture mentioned in lyrics, the stanza-line form of each song, etc. I wrote lullaby of Asia as well as suggest teaching contents based upon form of teaching. Through this study, I learned that Lullaby and baby dandling songs are sufficient to educate at primary school and they are very important in music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al aspect. Lullaby and baby dandling songs must be applied in cultural aspect by means of including the lullaby of a foreign country into teaching.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