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학점 자료]산업단지의 노후기준정립을 위한 인자발굴에 관한 연구
코카콜라제로제로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학회지 논문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지도교수님과 상의하였던 계획안들 중 하나입니다.여러 주제 중 다른 주제로 발전시키게 되어 더 이상의 진행상황은 없는 상황이라 업로드 하게 되었습니다.
지도교수님과 미팅 하려고 만든 자료여서 굉장히 신경써서 작성하였고 기술통계까지 되어 있는 자료입니다.
학부과정 및 석박사 코스웍중인 분들께도 좋은 밑자료가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연구계획서로 사용하셔서 좋은 논문 내시는 분이 계시면 좋겠습니다~
목차
제 Ⅰ 장 서 론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3. 분석의 방법
제 Ⅱ 장 관련 제도 및 선행연구 고찰
제 1 절 관련 제도 고찰
1. 산업단지의 정의 및 구분
2. 산업단지 관련 정책
제 2 절 선행연구 고찰
제 Ⅲ 장 산업단지의 생산성 영향요인 분석
제 1 절 생산성 지표 설정
제 2 절 전체산업단지와 노후산업단지의 생산성 비교
제 3 절 산업단지 생산성 영향 요인 기술통계
1. 토지생산성 측면에서의 생산성 영향 요인
2. 노동생산성 측면에서의 생산성 영향 요인
1) 가동업체 영향
2) 고용자수 영향
제 Ⅳ 장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본격적인 경제개발을 위해 정부 주도로 산업단지를 지정‧관리하였다. 1964년 서울의 수출산업공업단지(구로수출공단)를 첫 지정한 이후 2019년 말 기준 전국 14억㎡ 규모의 1,220개 단지에 220만 명의 종업원이 근무 중이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2019)에 의하면 산업단지가 전국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생산액 70.3%, 수출액 73.9%, 고용인원 48.5%, 사업체수 19.2%로 국가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산업단지는 국가경제의 고도성장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였으나 점차 노후화되며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노후거점산업단지의 활력증진 및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법(이하 노후거점산단법)」을 제정하여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경쟁력강화추진위원회의 평가를 통해 선정된 노후산업단지에 산업단지 기반시설 설치, 산업집적・인력양성 및 연구기반 구축, 근로자 생활환경 개선, 문화 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다.
이 때 노후산업단지는 노후거점산단법에 따라 ‘착공 후 20년 이상이 경과된 산업단지’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로 집계된 노후산업단지는 전국 159개소로 지정면적으로 환산하면 전체 산업단지 면적의 66.0%에 달한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의 2019년 전국산업단지현황 자료(2020.03)에 따르면 산업시설구역의 2019년 면적당 생산액은 노후산업단지 2,059백만원/천㎡로 비노후산업단지 1,691백만원/천㎡에 비해 369백만원/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경과년도’라는 단일기준으로 산업단지의 노후화를 판단하여 이를 개선해야 할 대상으로 분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산업단지의 생산성에는 착공 후 경과년도 뿐 아니라 다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
참고 자료
국토연구원‧산업연구원, 2015,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 전략계획 연구」국토연구원, 2014, 「산업단지 리모델링 종합계획 연구」
국토연구원, 2007,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실행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2015, 「산업단지 개발‧공급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성연, 2018.12, 「노후산업단지 지원사업의 실태분석 및 감사시사점」, 감사원 감사연구원.
김태현·임동일, 2014, “노후 산업단지의 재생방향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3).
박병호·인병철·김태영, 2009, “전국 산업단지 쇠퇴 분석”. 지역연구, 25(3).
박영철, 2015, ‘노후산업단지의 재생방안’, 「도시정보」, p2-3.
배성민, 2017, 「노후산단 근로환경 개선을 통한 일자리 활성화 방안」, 일자리기획단.
산업연구원, 2015, 「산업단지 입주업종 및 업종관리 법령개선 방안」
송주연, 2008, “도시내부 산업단지의 노후화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3).
신기동·문미성·이양주·송제룡, 2013, 노후산업단지 활력 제고 방안. 경기연구원.
안유정·이만형, 2015, “노후산업단지 내 기업의 지역 뿌리내림 구조”, 국토계획, 50(2).
윤영미·천경희·김민수·안재락, 2003, “기성시가지내 산업단지의 정비방안 - 진주시 상평지방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이성룡·이지은·유치선, 2016, 경기도 노후산업단지 재생활성화 방안. 경기연구원.
이승우, 2019, ‘과거 노후산단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복합산업단지로 탈바꿈하기 위한 시도: 양산일반산업단지 재생사업 지구 지정 및 재생계획’, 「도시정보」.
이혜경, 2019, ‘노후산업단지에서 스마트산단으로의 미래 –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도시정보」, p22-24.
이정찬·송위진·채윤식, 2015, 노후 산업단지의 재생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이종영·조우성, 2015, “노후산업단지의 경쟁력강화제도”. 중앙법학, 17(4).
일자리기획단, 2019, 「전국 산업단지 내 빈 일자리 실태 및 원인 분석」
일자리기획단‧관계부처 합동, 2019.11,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안)’
장철순 외 5, 2015, ‘노후산업단지재생의 현황과 과제’, 「도시정보」, p4-20.
장철순·김주훈, 2017, “경쟁력 지표를 통한 노후산업단지 진단과 공모 사업으로 선정된 재생사업지구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진정규·허재완, 2014, “산업단지 쇠퇴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국토계획,
49(8).
최대식 외 4, 2019, ‘미래형 신산업단지의 입지적합성 평가지표체계 개발 연구’, 「국토계획」, 제54권 7호.
최정석, 2011, “노후 산업단지의 재생을 위한 정책개선 방안연구”. 도시행정학보, 24(3).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 2019, 「통계로 본 한국의 산업단지 17년(2001~2018)」
한국산업단지공단, 각년도, ‘전국산업단지현황’
허문구·김동수·홍진기·최윤기·임종인, 2012, 혁신잠재력과 기반인프라를 중심으로 -. Issue Paper 2012-289. 산업연구원.
Foresight, 2013, 「The future of manufacturing a new are of opportunity and challenge for the UK」, The Government Office for Science, London, UK.
Grabher, G. (1993). The Weakness of Strong Ties. the Lock-in of Regional Development in the Ruhr Area. London: Routledge.
Unido, 2014, 「The future of manufacturing : Driving Capabilities, Enabling Investments」, World Economy Forum, Switzer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