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영마케팅]광고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따른 제품태도에 관한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모형 및 설문지 구성
1. 연구의 모형 및 가설 설정
2. 변수의 측정
Ⅳ. 실증분석
1. 자료의 수집 및 분석
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3. 가설 검증
Ⅴ. 결론
Ⅵ.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최근 사회의 급격한 소비환경 변화와 기업의 초경쟁시대가 도래하면서 소비자들에게 단순한 품질이나 가격에 대한 만족을 주는 차원이 아닌, 매체를 활용한 소비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기업이나 제품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고 근원적인 신뢰와 우호감을 얻어내는 차원으로 진보하려는 기업들의 몸부림에서 비롯된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박상준(2006)은 기업들이 저마다 윤리경영을 강조하고 기업이미지 통합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는 등의 움직임이 활발한 것은 이러한 위협요소로부터 기업을 보호하고 소비자들로부터 긍정적이고 깨끗한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기업 내, 외적 의지의 표현이라 하였다.
차희원(2005)은 기업에게 있어서 광고 소구 또는 표현 유형의 적합한 선택은 광고의 성패에 결정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선택된 광고의 소구 및 표현 유형은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전달되어 다양한 감정과 느낌을 유발하는 동시에 기업이나 제품의 이미지를 형성시켜 결국 제품의 구매나 기업의 평판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갖게 된다.
국내 대기업들은 80, 90년대에 이미 기업이미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업의 정책, 사회적 공헌, 사회적인 유용성을 알리는 기업광고를 제품광고와 병행하여 왔다. 그 결과 제품광고의 기업성 지향과 기업광고의 제품성 지향의 교차에 의한 상승효과를 달성하여 기업의 경쟁력 있는 이미지 구축에 성공할 수 있었다. 최근에 들어 대기업은 제품광고와 함께 기업이미지와 우수성을 광고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자사에 대한 호감과 믿음을 증대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만약 제품광고의 소구 및 표현 유형이 기업이미지 제고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으며 더 나아가 구매의도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해 볼 때 이는 TV광고를 통한 기업의 이미지 제고 전략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되며 경쟁력 있는 이미지 구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참고 자료
김성훈(2005), “감정적 반응이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16(1), pp. 173-176
김영성(1993), “공익광고에 있어서 위협소구의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5 재인용
김완석(1991), “광고 호소유형과 소비자 특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22-30
김원수, 기업이미지 관리론, 경문사, 1993, pp. 150-151 재인용
김원호(2003), “유머광고는 과거만큼 유효한 방식의 광고인가”,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39-51
김철수(1990), “ 광고효과에 있어서 감정반응과 태도의 매개역할”,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70-74
박기연(2002), “TV 공익 광고의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9-10 재인용
양윤, 구혜리(2006), “기분, 메시지 틀, 제품관여가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7(1), pp. 13-18
이진희(2006), “기업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광고 유형”,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75
이호배, 효과적인 기업 PR을 위한 연구, 금강기획, 1994, p. 138
조병두(2003),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가 상품권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37 재인용
차희원(2005), “기업이미지와 기업 명성이 조직-공중 관계성과 기업 슈퍼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 68호, pp. 181-186
탁동일(2000), “한국적 광고표현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경험분석: TV 광고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1(3), pp. 105-106
홍정환(2004), “제품디자인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4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