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이론적 배경
1. 교사기대의 개념
2. 교사기대의 사회심리학적 근거
3. 교사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의 방법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Ⅵ.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교육이란 교사와 학생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다. 이처럼 교육현장에서는 실제적으로 교육 작용의 과정에서 볼 때 교육의 주체가 되는 교사와 학생이 존재하면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교사가 바라는 학생이 있을 것이고 또한 학생이 바라는 교사가 있을 것이다. 학생은 매일 학교에서 활동하고 또한 교사와 접촉하면서 생활하게 되므로 교사가 학생에 대해 어떤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는 바람직한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이러한 교사의 기대가 학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교육계에 관심을 끌게 된 것은 Rosenthal과 Jacobson(1968)에 의해서다. 동물 실험 중 실험자의 기대가 실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던 Rosenthal은 교사의 마음 속에 학생에 대한 기대가 형성될 때 이 기대도 실제로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고 초등학교에서 실험을 하였다. 위의연구 이전에도 자성 예언 효과(self-fulfilling prophecy effect)와 학생의 성적이 낮은 것은 교사의기대가 낮기 때문이라는 연구들이 있었으나 그렇게 큰 반응을 일으킨 것은 Rosenthal과 Jacobson의 연구이다.
참고자료
· 신동로 (2002).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 교육과학사.
· Ambady, N., & Rosenthal, R. (1993). Half a minute: Predicting teacher evaluations from thin slices of nonverbal behavior and physical attractiv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3). 431-44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