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간호연구방법 및 통계 양적연구 계획서 -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happy05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4.03.13
최종 저작일
2023.12
11페이지/ 한글표준문서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EasyAI 홍보배너

* 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간호연구방법 및 통계 과목에서 제출했던 양적연구 계획서입니다. 논문 제목은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으로, A+ 받았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주제
2. 연구문제의 중요성
3. 연구문제의 배경
4. 연구문제
5.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및 설계
1. 연구질문
2. 가설 설정
3. 변수 정의
4. 연구설계
5. 자료 수집 방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주제
본 연구는 12주간의 실험연구를 시행함으로써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를 겪고 있는 노인들의 인지기능, 우울감, 그리고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노인들이 겪을 수 있는 인지기능 저하, 우울증 및 수면장애를 예방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운동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효과적인 운동 중재 방안을 제안하여 노인들의 건강을 증진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연구 문제의 중요성
급격한 인구 고령화로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3년에 18.4%에서 2050년에는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1]. 이 중 여성의 노인인구 비중은 20.6%로 남성(16.2%)보다 4.4%P 높아 초고령사회(노인인구 비율 20% 이상)로의 진입을 이미 보여주고 있다[1]. 이러한 노인인구의 급증은 의료비 지출의 증가를 초래하고, 최근에는 사회학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문제 중 하나로 간주하고 있다[2]. 이는 곧 노인들의 고립 증가로 이어져 사회적, 심리적으로 노화를 더욱 촉진할 수 있다[3]. 또한 정년퇴직으로 인한 소외감, 고독감, 소득 감소 등으로 인해 건강 문제와 노인 보호, 노년기를 위한 복지시설 및 서비스 제공, 노인 여가의 활용 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4]. 따라서 노화로 인한 다양한 질병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며,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방안은 현재 고령화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5].

3. 연구문제의 배경
노년기에는 전반적인 신체기능 저하뿐만 아니라 지각, 기억, 지능을 포함하는 인지장애, 불안감, 그리고 우울증으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되며, 가장 극단적 선택인 자살이 발생할 수 있다[6].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22)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우울증 유병률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으며, 이러한 역학적 조사의 결과는 노인층의 자살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

참고 자료

주요 연령계층별 추계인구(생산연령인구, 고령인구 등).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3&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
Clegg A1, Young J, Iliffe S, Rikkert MO, Rockwood K. (2013). Frailty in elderly people. Lancet. 2, 381(9868), pp. 752-62..
신승아. (2005). 노인생활무용 참여여부에 따른 심리적 정서 상태가 자기만족도에 끼치는 영향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번장. (2000). 사회체육개론. 서울 대학교 출판부.
이예력, 이주립. (2003). 한국무용 동작을 통한 노인의 체력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2(5), 631-637
Gebretsadik, M., Jayaprabhu, S., & Grossberg, G. T. (2006). Mood disorders in the elderly.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90(5): 789-805.
이상영, 노용환, 이기주 (2012). 우리나라의 자살급증원인과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Frankel, J. E., Bean, J. F., & Frontera, W. R. (2006). Exercise in the elderl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2(2): 239-256.
박래준, 이현옥, 김성학. (2000). 치매노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MBI와 MMSE사이의 상관관계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2(2), 83-93.
Lautenschlager NT, Cox KL, Flicker L, Foster JK, van Bockxmeer FM, Xiao J, Greenop KR, Almeida OP. (2008).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at risk for Alzheimer disease: a randomized trial. JAMA. 300(9),1027-1037.
Nowalk, M., Prendergast, J., Bayles, C., D'Amico, F., Colvin, G. (2001). A randomized trial of exercise programs among older in dividuals living in two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Falls FREE programs. JAM Geriatr Assoc. 49, 859-865.
권유찬, 김우규, 박상갑. (2004). 운동이 노인성 알츠하이머 치매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과학연구논문집, 22(12), 27-32.
Steinberg, S. I., Sammel, M. D., Harel, B. T., Schembri, A., Policastro, C. et al. (2014). Exercise, sedentary pastimes,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healthy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 Other Dementias, Advance online publication. doi: 10.1177/*************615
Blondell, S. J., Hammersley-Mather, R., & Veerman, J. L. (2014). Does physical activity prevent cognitive decline and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BMC Public Health, 14: 510. doi:10.1186/1471-2458-14-510
Steiner, M. (2011). Serotonin, depres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sex-specific issues, Acta Physiologica, 203(1):253-258.
Schuch FB, Vancampfort D, Rosenbaum S, Richards J, Ward PB, Veronese N, et al. Exercise for depression in older adult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Brazilian Journal of Psychiatry. 2016;38:247-54.
Kim YJ, Han K-D, Baek MS, Cho H, Lee EJ, Lyoo CH.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conversion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to dementia. lzheimer's Research & Therapy. 2020;12(1):1-8
안주현. (2022). 운동요법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수면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간호학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대학원
Kim KA, kim OS. The effects of exercise-cognitive combined dual-task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Adul Nursing. 2015;27(6):707-17.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975;12(3):189-98.
Nasreddine ZS, Phillips NA, Béedirian V, Charbonneau S, Whitehead V, Collin I, et al.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a brief screening tool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5;53(4):695-9.
Cano SJ, Posner HB, Moline ML, Hurt SW, Swartz J, Hsu T, et al. The ADAS-cog in Alzheimer's disease clinical trials: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sum and its part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2010;81(12):1363-8.
Chan C, Lee T, Wong V, Fong K, Lee C. Validation of the Chinese version of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1999;14(1):71
Battle J.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Reports. 1978;42(3):745-6.
Yesavage JA, Brink TL, Rose TL, Lum O, Huang V, Adey M,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982;17(1):37-49.
Conradsson M, Rosendahl E, Littbrand H, Gustafson Y, Olofsson B, Löovheim H. Usefulness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15-item version among very old people with and without cognitive impairment. Aging & Mental Health. 2013;17(5):638-45.
Lam CK, Joy Lim PiP, Low BL, Ng LL, Chiam PC, Sahadevan S. Depression in dementia: a comparative and validation study of four brief scales in the elderly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4;19(5):422-8.
Lim S-Y, Lee E-J, Jeong S-W, Kim H-C, Jeong C-H, Jeon T-Y, et al. The alid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Scale 2 in Korean version. Anxiety and Mood. 2011;7(1):48-53.
Carskadon MA, Dement WC. Normal human sleep: an overview.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2005;4(1):13-23.
Levenson JC, Kay DB, Buysse DJ. The pathophysiology of insomnia. Contemporary Reviews in Sleep Medicine. 2015;147(4):1179-92.
Buysse DJ, Reynolds III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1989;28(2):193-213.
강연욱. (2006). K-MMSE(Korea-MiniMentalState Examination)의 노인기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5(2), 1-12.
주진형, 김기웅, 이동영, 윤종철, 이태주, 추일한, 고혜정, 서은현, 우종인. (2005). 두 가지 한글판 간이정신상태 검사의 비교 : MMSE-KC와 K-MMSE.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4(1), 98-104.
정인과, 곽동일, 신동균, 이민수, 이현수, 김진영. (1997). 노인우울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36(1), 103-112.
Yesavage. J.A., Brink, T.L., Rose, T.R., Lum, O., Hunang, V., Adey, M.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happy05
판매자 유형Platinum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간호연구방법 및 통계 양적연구 계획서 -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 유니스터디 이벤트
AI 챗봇
2024년 11월 2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