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2・8 독립선언과 한국 유학생 활동 고찰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 / 7권 / 6호
ㆍ저자명 : 임영언, 장우권
ㆍ저자명 : 임영언, 장우권
목차
Ⅰ. 서론Ⅱ. 2・8 독립선언의 역사적 배경과 동인
1. 윌슨의 민족자결론과 고종황제의 급서
2. 동경 유학생과 초국적 네트워크
Ⅲ. 일본 유학생 단체 조직화와 ‘조선청년독립단’ 결성
1. 동경 유학생 단체의 설립과 현황
2. 동경 유학생 ‘조선청년독립단’ 조직
Ⅳ. 2・8 독립선언이 한국 유학생과 일본 사회에 미친 영향
1. 독립선언 선포과정과 유학생의 구속
2.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3. 오사카에서 유학생 독립선언선포 계획
4. 동경 유학생 국내외 독립운동 참여
5. 동경 유학생의 임시정부 참여
Ⅳ.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8 독립선언 전후의 사정과 의의를 체계화하여 3·1 독립운동의 도화선의 한계를 넘어 학생운동의 한국적 의미와 독립운동 전반에 미친 영향, 이후 학생활동에 미친 영향 등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윌슨의 민족자결론과 고종황제의 서거는 조선 민족의 독립운동에 대한 기대와 기회를 만들어주었다. 둘째, 동경 유학생들의 2·8 독립선언과 해외 독립운동가와의 네트워크가 3·1독립운 동을 촉진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경 유학생 단체는 조선 독립의 방향과 이론을 정립하는 조직적 세력으로 성장하였으며 민족 독립의 지 혜와 역량을 갖추고 있었다. 넷째, 2·8 독립선언은 일단 실패로 돌아갔으 나 이후 독립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유학생들의 독립선언은 국내 독립운 동가 지도층에게 적극적인 지원을 끌어냄으로써 3・1 독립운동에도 지대 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2・8 독립선언은 이후 오사카에서 독립선언이 나 국내 독립운동 등 다양하고 분화된 형태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큰 역 할을 담당했다. 또한, 많은 유학생이 귀국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하거나 나 중에 임시정부에 가담하여 적극적인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결론적으로 2·8 독립선언은 이후 실천적 행동적 의지를 갖추고 향후 독립운동을 전 개하는 데 발판을 제공하였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on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identify its Korean meaning, its impact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a whole, and its impact on student activit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lson's theory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the death of Emperor Gojong created expectations and opportunitie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Chosun people. Second, the February 8th Declaration of Independence by students studying abroad in Tokyo and their network with overseas independence activists were found to be factors that promoted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ird,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played a major role in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various and differentiated forms, such as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Osaka and the domestic independence movement. In conclusion,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contributed to providing a foundation for future independence movements with the will to take practical action to embody this spirit of 2·8.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과 국제사회"의 다른 논문
- 한국 조선산업정책의 변화 분석 : 1970년대~2000년대를 중심으로30페이지
-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의 변화 양상과 함의25페이지
- ‘탈진실’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과 공영방송의 역할 : BBC와 EBS 콘텐츠 비교 연구28페이지
- 민주시민교육과 통일교육의 관계모델 탐색 : 관계유형과 사례논의의 시사점27페이지
- 마비전의 진화에 따른 특수작전부대 운용에 관한 연구 : 마비전 사례분석을 중심으로27페이지
- 포퓰리즘은 반(反)민주적인가? 라클라우(E. Laclau)의 구성주의적 포퓰리즘 이론과 민주적 혁신33페이지
- 한국 유권자들의 이념적 정렬과 정서적 양극화 : 18대, 19대, 20대 대통령 선거 분석 결과22페이지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인권정책과 한국의 대응전략 : 인권외교 개념을 중심으로39페이지
-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박정희 정부의 국회의원 선거제도 분석31페이지
- 한국어 ‘를’ 중출문의 원인 연구2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