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온라인 유통 새우 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모니터링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38권 / 6호
ㆍ저자명 : 김건희, 이지영, 강태선
ㆍ저자명 : 김건희, 이지영, 강태선
목차
Materials and Methods검체 수집
시료 전처리 및 DNA 추출
목적 유전자 증폭 및 염기서열 분석
DNA 바코드 정보를 이용한 새우의 종판별
계통도 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추출한 DNA 농도, 순도 및 사용 적합성 확인
DNA 바코드 방법을 이용한 새우의 종판별
계통분석을 통한 새우종 판별의 검증 결과
사용 원재료와 표시사항 일치도 분석
Acknowledgement
Conflict of interests
ORCID
영어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species identification and labeling compliance of 48 shrimp products sold in the Korean online markets. Species identific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standard DNA barcoding method, using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The obtained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those deposited in the NCBI GenBank and BOLD Systems databases. Additionally,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to further verify the identified shrimp species. Consequently, 16 shrimp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Penaeus vannamei, Pandalus borealis, Palaemon gravieri, Leptochela gracilis, Penaeus monodon, Pleoticus muelleri, Metapenaeopsis dalei, Euphausia pacifica, Lebbeus groenlandicus, Trachypenaeus curvirostris, Argis lar, Metanephrops thomsoni, Metapenaeopsis barbata, Alpheus japonicus, Penaeus chinensis, and Mierspenaeopsis hardwickii. The most prevalent species was Penaeus vannamei, found in 45.8% of the analyzed products. A significant mislabeling rate of 72.9% was found; however, upon excluding generic names such as shrimp, the mislabeling rate reduced to 10.4%. The mislabeling rate was higher in highly-processed products (89.3%) compared with that in minimally-processed products (50%).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untry of origin and mislabeling 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crucial data for future monitoring of shrimp products and improving the labeling of shrimp species in Korea.참고 자료
없음"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의 다른 논문
- 염소고기 열수추출물 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암 세포주에서 항암 관련 단백질 발현량 확인6페이지
- Porphyromonas gingivalis의 병인인자 Gingipain 억제능을 갖는 Weisie..7페이지
- Ready-to-drink (RTD) 커피 음료의 카페인 함량과 표시사항의 적합성7페이지
- 식품의 소비기한 참고치 설정을 위한 안전계수9페이지
- 추출 방법에 따른 명일엽과 돌미나리 착즙박의 정미성분 및 항산화 특성11페이지
- 팽이버섯 재배 현장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살균 처리 ..9페이지
- 경기서부지역 로컬푸드 잔류농약 실태조사7페이지
- 고추씨 기름의 잔류농약 모니터링6페이지
- 가열조리에 따른 냉동식품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조사7페이지
- 국내 온라인 유통 복어 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모니터링 연구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