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온라인 유통 복어 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모니터링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38권 / 6호
ㆍ저자명 : 이지영, 김건희, 강태선
ㆍ저자명 : 이지영, 김건희, 강태선
목차
Materials and Methods검체 수집
시료 전처리 및 DNA 추출
목적 유전자 증폭 및 염기서열 분석
DNA 바코드 정보를 이용한 복어의 종판별
Results
BLAST 검색 및 계통 분석 결과
사용 원재료와 표시사항 일치도 분석
Discussion
Acknowledgement
국문요약
ORCID
영어 초록
In this study, based on an analysis of two DNA barcode markers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and cytochrome b genes), we performed species identification and monitored labeling compliance for 50 commercial pufferfish products sold in on-line markets in Korea. Using these barcode sequences as a query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we screened the GenBank database. A total of seven pufferfish species (Takifugu chinensis, T. pseudommus, T. xanthopterus, T. alboplumbeus, T. porphyreus, T. vermicularis, and Lagocephalus cheesemanii) were identified and we detected 35 products (70%) that were non-compliant with the corresponding label information. Moreover, the labels on 12 commercial products contained only the general common name (i.e., pufferfish), although not the scientific or Korean names for the 21 edible pufferfish species. Furthermore, the proportion of mislabeled highly processed products (n = 9, 81.8%) was higher than that of simply processed products (n = 26, 66.7%). With respect to the country of origin, the percentage of mislabeled Chinese products (n = 8, 80%)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 products (n = 26, 66.7%). In addition, the market and dialect names of different pufferfish species were labeled only as Jolbok or Milbok, whereas two non-edible pufferfish species (T. vermicularis and T. pseudommus) were used in six commercial pufferfish products described as JolboK and Gumbok on their labels, which could be attributable to the complex classification system used for pufferfish. These monitoring results highlight the necessity to develop genetic methods that can be used to identify the 21 edible pufferfish species, as well as the need for regulatory monitoring of commercial pufferfish products.참고 자료
없음"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의 다른 논문
- 염소고기 열수추출물 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암 세포주에서 항암 관련 단백질 발현량 확인6페이지
- Porphyromonas gingivalis의 병인인자 Gingipain 억제능을 갖는 Weisie..7페이지
- Ready-to-drink (RTD) 커피 음료의 카페인 함량과 표시사항의 적합성7페이지
- 식품의 소비기한 참고치 설정을 위한 안전계수9페이지
- 추출 방법에 따른 명일엽과 돌미나리 착즙박의 정미성분 및 항산화 특성11페이지
- 팽이버섯 재배 현장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살균 처리 ..9페이지
- 국내 온라인 유통 새우 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모니터링 연구12페이지
- 경기서부지역 로컬푸드 잔류농약 실태조사7페이지
- 고추씨 기름의 잔류농약 모니터링6페이지
- 가열조리에 따른 냉동식품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조사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