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예술’적 관점에서 살펴본 북한 공동살림집의 복합성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ㆍ수록지정보 : 건축역사연구 / 32권 / 5호
ㆍ저자명 : 신건수
ㆍ저자명 : 신건수
목차
1. 서 론1-1. 연구의 목적 및 방향
1-2. 연구 관점과 방법
2. 건축예술과 광복거리 조형건축
2-1. 도시경관에서 공동살림집의 형태 미학
2-2. 도시경관: 도시건축형성 및 거리형성건축
2.3 건축 형성
3. 재건시기(1950-60년대) 공동살림집의 이중성
3-1. 재건시기 도시 배경으로서의 공동살림집
3-2. 공동살림집의 경관 역할
3-3. 건축형성: 탑식 공동살림집
3-4. 도시경관: 도시형성건축과 거리형성건축 논리
4. 결 론
영어 초록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ultilayered nature of the formal aspects of communal house architecture in North Korea. It is said that Kim Jong Il, who emerged as a successor after the mid-1970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architecture, leading the construction of a sculptural communal house on Gwangbok Street in 1989, and wrote The art of architecture (1992), which theorized architecture as an object of art. Therefore, it is widely perceived that the communal house was transformed from a simple form of living function to an artistic architecture with the rise of Kim Jong Il. This study, however, argues that this change was the result of an internal evolution in North Korean architecture, rather than a simple change in the position of an individual in power. It seeks to move away from the dichotomy that divides the communal house into two periods: the "Kim Il-sung period," in which the communal house was laid out in a simple form to provide mass supply and a socialist lifestyle, and the "Kim Jong-il period," in which the communal house took on an artistic form, such as the Gwangbok Street communal house, in the early years of reconstruction. In the 1950s and 1960s, before Kim Jong-il's arrival, the communal house form was not simply a flat arrangement, but a three-dimensional and sculptural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n the cityscape.참고 자료
없음태그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
- 신간 소개: 8페이지
- 학회의 권력화 양상에 대한 우려 - 표절의혹 판정문에 대한 토론 기고를 게재 거부한 검열 편집권 사..7페이지
- 조선시대 동유(桐油) 사용의 진위11페이지
- 1960-70년대 누정 공간의 사회적 생산과 문화정치적 함의 - 파주 화석정(花石亭)을 중심으로 -11페이지
- 조선 후기 해주의 경관과 세태 이미지14페이지
- 조선 전기 서울 지역 지배층 저택의 규범적 건물 유형과 배치12페이지
- 영건(營建) 관련 자료를 통해 본 조경단(肇慶壇)의 건축 특성10페이지
- 학성이씨 파종가 울산 근재공고택의 건축적 특징에 관한 연구 -상부가구의 유형 분석과 처마 공간 구성..8페이지
-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의 온돌공사 개정 제안에 관한 연구8페이지
- 15∼17세기 초, 난간석만 갖춘 조선왕릉의 등장과 구조적 특징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