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자아통제감과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유화학회
ㆍ수록지정보 : 韓國油化學會誌 / 40권 / 3호
ㆍ저자명 : 황란희
ㆍ저자명 : 황란희
목차
1. 서 론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윤리적 고려
2.4. 연구도구
2.5. 자료분석 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 및일상적 스트레스 정도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통제감,사회적 지지 및 일상적 스트레스 차이
3.4. 대상자의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 및일상적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
3.5.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결 론
감사의 글
한국어 초록
본 연구목적은 여고생 164명의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 및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과 그 변 인들 간의 관계, 여고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대상자의 자아통 제감은 평균 20.47±3.86점으로, 학교생활 만족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평균 105.88±19.63점으로, 학교생활 만족 정도와 부모님의 양육 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 타냈다. 대상자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평균 58.96±17.33점으로, 교우관계, 학교생활 만족 정도 및 부모 님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아통제감은 사회적 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고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자아통제감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여고생의 정서적, 정신적 건강증진 측면에서 일상적 스트레스를 완화 시키기 위한 프로 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영어 초록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sense of self-control, social support and daily stress in female highschool students and to identify variables influencing daily stress. Data were collected 164 female highschool students. Data were handled statistics using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mean score of sense of self-control was 20.47±3.86.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e of self-control on factor such a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he mean score of social support was 105.88±19.6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on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parental rearing attitudes. The mean score of daily stress was 58.96±17.3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stress on factors such as relationship with school fellow,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nd parental rearing attitudes. Daily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nse of self-control and social support. Sense of self-contr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Factor influencing daily stress were social support, sense of self-control, which explained 45%. Further study with careful sampling will be needed to reduce the daily stress of highschool students.참고 자료
없음태그
"韓國油化學會誌"의 다른 논문
- 황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의 민감성 피부 안전성 연구9페이지
- 한국 청소년의 편의식품 섭취 경험의 영향요인 : 생물-심리-사회 모델을 바탕으로13페이지
-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수준에 따른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7페이지
- 퍼스널 트레이너-고객 간의 라포(Rapport)형성이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 커뮤니케이션 스타일..10페이지
- 제브라피쉬 배아를 이용한 천연부산물의 미백 효능평가9페이지
- 저소득층 중년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10페이지
- 여자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선수 경력과 대회 참가빈도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8페이지
- 여대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14페이지
- 실봇(Silbot)을 병용한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효..10페이지
- 신종감염병지식과 임상실습스트레스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