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립장 주요 배출경로별 매립가스 표면발산량 및 산화율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유화학회
ㆍ수록지정보 : 韓國油化學會誌 / 40권 / 3호
ㆍ저자명 : 천승규, 박종근, 김명관
ㆍ저자명 : 천승규, 박종근, 김명관
목차
1. 서 론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매립장 개요
2.2. 매립가스 발생량 조사·분석 방법
2.3. 표면발산 배출특성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매립장 및 경로별 발생량과 농도
3.2. 경로별 표면발산
3.3. 경로별 메탄 산화율
3.4. 배출량과 산화율을 고려한 매립장 관리방안
4. 결 론
한국어 초록
수도권에 위치한 S매립장 내 3개의 매립장을 대상으로 매립가스 배출 및 주요 경로별 표면 발산과 관련된 분석을 하였다. 전체 매립가스 발생비율 10.9%인 LS1이 총 표면발산 비중은 49.4%를 차지하고 있었다. 3개 매립장에서의 메탄의 총 표면발산은 13.6 Nm3/min로서, LS1 8.4 Nm3/min (61.7%), LS2 4.0 Nm3/min(29.4%), LS3 1.2 Nm3/min(8.9%)이고, 발산경로별로는 상부 7.3 Nm3/min (53.2%), 사면 6.4 Nm3/min(46.7%), 다이크 0.02 Nm3/min(0.1%)이었다. 3개 매립장의 주요 배출경로 별 산화율은 다이크가 87.5%로 가장 크고, 상부 72.3%, 사면 71.8% 순이었다. 메탄을 기준으로 표면발 산 기여율은 매립장 별로 LS1이 전체의 61.7%로 가장 컸다. 주요 배출경로별로는 LS1의 사면이 전체의 41.7%, LS2의 상부 24.4%, LS1의 상부 20.0%로서 S매립장의 전체 메탄 표면발산량의 86.1%를 차지함 에 따라 향후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영어 초록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landfill gas generation and surface emission by major routes for three landfill sites of S Landfill in the metropolitan area. LS1, which had a total landfill gas generation ratio of 10.9%, accounted for 49.4% of the total surface emissions. The total surface emission of methane alone was 13.6 Nm3/min in the three landfill sites. Among them, the surface emission of methane at LS1, LS2, and LS3 was 8.4(61.7%), 4.0(29.4%), and 1.2 Nm3/min(8.9%), respectively. By emission path in the upper, slope, and dike, it was 7.3(53.2%), 6.4(46.7%), and 0.02 Nm3/min(0.1%). The dike section of the major surface emission areas showed the largest oxidation rate at 87.5%, followed by the upper at 72.3%, and the slope at 71.8%. Based on methane generation, LS1 had the largest surface emission contribution rate, with 61.7% of the total by S Landfill. By major emission path, the slope section of LS1 accounted for 41.7% of the total, the upper section of LS2 24.4%, and the upper section of LS1 20.0%, which accounted for 86.1% of the total methane surface emission of S Landfill.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intensive management will be necessary.참고 자료
없음태그
"韓國油化學會誌"의 다른 논문
- 황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의 민감성 피부 안전성 연구9페이지
- 한국 청소년의 편의식품 섭취 경험의 영향요인 : 생물-심리-사회 모델을 바탕으로13페이지
-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수준에 따른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7페이지
- 퍼스널 트레이너-고객 간의 라포(Rapport)형성이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 커뮤니케이션 스타일..10페이지
- 제브라피쉬 배아를 이용한 천연부산물의 미백 효능평가9페이지
- 저소득층 중년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10페이지
- 여자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선수 경력과 대회 참가빈도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8페이지
- 여대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14페이지
- 여고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자아통제감과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11페이지
- 실봇(Silbot)을 병용한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효..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