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의 유형 분류 및 사회적지지 영향요인 검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 / 7권 / 5호
ㆍ저자명 : 이동욱
ㆍ저자명 : 이동욱
목차
Ⅰ. 서론Ⅱ. 이론적 배경
1. 진로적응력, 양육태도, 친구관계, 교사관계에 대한 개념
2. 양육태도와 진로적응력과의 관계
3. 친구관계와 진로적응력과의 관계
4. 교사관계와 진로적응력과의 관계
5. 진로적응력과 관련한 잠재프로파일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2. 잠재프로파일 모형 결정
3.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의 프로파일 분류에 미치는영향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의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사회적 지지인 양육태도, 친구관계, 교사관계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CYPS 2018)」에서 중1코호트의 제4차 조사(2021년)에 해당하는 고등 학생 1학년 응답자 2,265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진로적응 력의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예측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SPSS 26.0과 JAMOVI 2.2.5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로지스 틱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서는 ‘진로적응 매우미흡집단’, ‘진 로적응 미흡집단’, ‘진로적응 보통집단’, ‘진로적응 우수집단’ 총 4개의 잠재프로파일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양육태도와 교사관계는 모두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 구관계는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청소년들의 진로적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제도 수립 및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atent profile types of career adaptability of adolescents, an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such as parenting attitude, friend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on career adaptability. In the 4th survey (2021) of a cohort of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265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JAMOVI 2.2.5 to confirm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influence of predictive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4 latent profile groups were classified.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 relationship both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friend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establishing an educational system and developing programs that can strengthen the career adaptability of adolescents in the future.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과 국제사회"의 다른 논문
-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전략 변화와 한국의 안보 : 주한미군과 확장억제전략을 중심으로39페이지
- 청년세대 상대적 박탈감에 관한 연구 : 분배공정성과 평등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32페이지
- 관형격 조사 ‘의’의 사용 양상 연구 : 수의적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25페이지
- 한국 정치에서 안보 포퓰리즘과 민주주의35페이지
- 군항도시 사세보(佐世保)의 관광도시 전환 과정의 설계와 실천 : 하우스텐보스(Huis Ten Bos..23페이지
- 중국의 대(對) 한국 경제 제재 조치와 한중 문화갈등28페이지
- The US-China Technological Competition and Its Impact o..32페이지
- 글로벌 우주영역인식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과 한국군 의 국방 우주력 발전 과제에 대한 고찰30페이지
- 전쟁원인이론에 의한 러-우전쟁 발발원인에 관한 연구 : 전쟁의 3가지 수준별 분석을 중심으로25페이지
- 북한의 핵 사용 유형과 방사성 물질의 거동에 기초한 국민 방호 대비 방향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