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과 봄철의 CO2 시비 토마토 온실에서 온도에 따른 CO2 농도 구명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ㆍ수록지정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구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32권 / 4호
ㆍ저자명 : 최수현, 우영회, 장동철, 정영애, 윤서아, 김대현, 서호석, 최은영
ㆍ저자명 : 최수현, 우영회, 장동철, 정영애, 윤서아, 김대현, 서호석, 최은영
목차
서 언재료 및 방법
1. 겨울철 CO2 시비 온실에서 온실 온도에 따른 CO2 농도 변화(실험 1의 1, 2차 실험)
2. 봄철 CO2 시비 온실에서 온실 온도에 따른 CO2 농도변화(2차 실험)
결과 및 고찰
1. 겨울철 CO2 시비 온실에서 온도에 따른 CO2 농도 변화
2. 봄철 CO2 시비 온실에서 온도에 따른 CO2 농도 변화
적 요
사 사
영어 초록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CO2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s of daytime and nighttime in the CO2 supplemental greenhouse, and to compare calculated supplementary CO2 concentration during winter and spring cultivation seasons. CO2 concentrations in experimental greenhouses were analyzed by selecting representative days with different average temperatures due to differences in integrated solar radiation at the growth stage of leaf area index (LAI) 2.0 during the winter season of 2022 and 2023 years. The CO2 concentration was 459, 299, 275, and 239 μmol·mol-1, respectively at 1, 2, 3, and 4 p.m. after the CO2 supplementary time (10:00-13:00) under the higher temperature (HT, > 18°C daytime temp. avg. 31.7, 26.8, 23.8, and 22.4°C, respectively), while it was 500, 368, 366, 364 μmol·mol-1, respectively under the lower temperature (LT, < 18°C daytime temp. avg. 22.0, 18.9, 15.0, and 13.7°C, respectively), indicating the CO2 redu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T than that of LT. During the nighttime, the concentration of CO2 gradually increased from 6 p.m. (346 μmol·mol-1) to 3 a.m. (454 μmol·mol-1) in the HT with a rate of 11 μmol·mol-1 per hour (240 tomatoes, leaf area 330m2), while the increase was very lesser under the LT. During the spring season, the CO2 concentration measured just before the start of CO2 fertilization (7:30 a.m.) in the CO2 enrichment greenhouse was 3-4 times higher in the HT (>15°C nighttime temperature avg.) than that of LT (< 15°C nighttime temperature avg.), and the calculated amount of CO2 fertilization on the day was also lower in HT. All the integrated results indicate that CO2 concentrations during the nighttime vari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the increased CO2 is a major source of CO2 for photosynthesis after sunris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del formula for CO2 supplement considering the nighttime CO2 concentration.참고 자료
없음"생물환경조절학회지(구 시설원예ㆍ식물공장)"의 다른 논문
- 고설베드 형태가 참외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8페이지
- 기온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사과 주산지 만개일 예측을 위한 모델 평가12페이지
- 순환식 수경재배 멜론의 수량과 품질, 관개수 및 양분 이용 효율성 평가9페이지
- 플라스틱 온실 내 이산화탄소 시비에 따른 토마토 생육과 생체 반응 및 Plant-induced El..8페이지
- 관수 개시점에 따른 복숭아 ‘천중도백도’의 과실 품질 및 생산성 변화 분석9페이지
- 범용 농지에서 코이어 폐배지를 이용한 콩의 생육 및 품질 증대9페이지
- 컴퓨터 비전과 과실 모델링을 이용한 멜론 과실 생장과 네트 품질의 관계 분석10페이지
- 관부 난방 시스템 적용으로 인한 고설 딸기의 재배 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출뢰, 개화 및 수확량 비..7페이지
- 딸기 육묘용 광폭 플라스틱 필름 온실 개발7페이지
- 상추잎 너비와 길이 예측을 위한 합성곱 신경망 모델 비교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