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 영상에 대한 정서표상 및 개인 간 반응 일관성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감성과학회
ㆍ수록지정보 : 감성과학 / 26권 / 3호
ㆍ저자명 : 조아란, 김현중, 김종완
ㆍ저자명 : 조아란, 김현중, 김종완
목차
1. 서론2. 연구방법 및 절차
2.1. 데이터 설명
2.2. 통계분석
3. 연구 결과
3.1. 다차원척도법
3.2. 참가자간 분류분석 및 오차행렬
3.3. 참가자간 상관분석 및 반복측정 변량분석
4. 논의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정서 자극 유형 중 일상생활과 가장 유사한 정서 경험을 유발하는 자연주의적 자극인 영상 자극을 활용 하여 정서표상의 유사성과 개인 간 반응 일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차원척도법을 실시하여 영상 자극이 핵심정서 차원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고, 참가자 간 분류분석을 사용하여 영상들이 정서유형 별로 구분이 잘 이루어지는지, 영상 자극에 대한 참가자들의 정서표상이 일관적인지 검증하였다. 또한 참가자간 상관분석을 통해 각 영상 자극에 대한 정서표상이 참가자들간 유사한지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다차원척도법 결과, 정서유발 영상들 이 정서가 차원에서 유의하게 구분되어 Russell(1980)의 핵심정서차원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분류분석 결과, 각 영상이 정서유형에 따라 잘 분류되고 예측되었다. 마지막으로, 참가자간 상관분석을 통해 정서 반응 일관성이 각 영상의 정서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영상 자극에 대한 정서표상과 정서 반응 일관성이 정서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영어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ffective representation and response consistency among individuals using affective videos, a naturalistic stimulus inducing emotional experiences most similar to those in daily life. In this study, multidimensional scaling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various affective representations induced through video stimuli are located in the core affect dimensions. A cross-participant classificat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video stimuli are well classified. Additionally, the newly developed intersubjec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sistency of affective representations across participant responses.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hat the video stimuli are represented well in the valence dimension, partially supporting Russell (1980)'s core affect theory. The classification results showed that affective conditions were successfully classified across participant responses. Moreover, the intersubjec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nsistency of affective representations to video stimuli differed with respect to the con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ffective representations and consistency of individual responses to affective videos varied across different affective conditions.참고 자료
없음태그
"감성과학"의 다른 논문
- 회복탄력성 수준에 따른 인지 정보처리 변화: P30012페이지
- 하이테크 감성 섬유패션의 교육 방향에 대한 모색14페이지
- 청소년의 자기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20페이지
- 참가자 간 표상 유사성 분석을 이용한 정서 자극 반응 일치성 비교: 행동 및 생리 데이터를 기반으로12페이지
- 자연 상태에서의 인간감성 평가를 위한 비접촉식 인덕티브 센싱 기반의 착용형 센서 연구12페이지
- 인지적 안녕감 수준에 따른 다양한 감정의 지각된 빈도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표 감정 도출18페이지
- 인간과 로봇의 도덕성 판단, 마음지각과 불멸지각의 관계12페이지
- 사회적 배제는 물질주의를 증가시키는가? 소속과 통제의 욕구 및 권력감의 조절된 매개 효과16페이지
- 반려동물 상실과 복합 애도: 지각된 사회적 제약의 조절 효과14페이지
- App-기반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아동의 대화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