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기간 및 대상
2. 연구장비
3. 영상의 획득 및 Scan parameters
4. 영상의 평가방법
Ⅲ. 결 과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초록
목 적:MRCP검사시 CS SPACE breath-hold기법을 사용하여 조영전과 Gd-EOB- DTPA 사용후 영상을 시간대별로 획 득하여 영상의 변화를 통해 담즙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3D T2강조 자기공명 담췌관 조영영상의 적절한 획득시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2017년 11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Gd-EOB-DTPA를 사용하여 MRCP검사를 시행한 42 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장비는 SIEMENS사의 Magnetom Skyra 3.0T를 사용하였다. Compressed Sensing SPACE breath-hold 기법으로 조영전과 Gd-EOB-DTPA를 사용한 역동적 조영검사 후 delay 4m, 6m, 8m 때의 3D T2강조 자기공명 담췌관 조영영상을 MIP기법을 사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한 뒤, RHD, LHD, CBD의 SNR과 CNR을 측정하였고, 정성적 평가는 조영전과 Gd-EOB-DTPA사용후 delay 4m, 6m, 8m때의 RHD, LHD, CBD를 복부전문 영상의학과 전문의 1명과 10년 이상 경력의 MRI전문 방사선사 1명이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결 과:조영전 RHD, LHD, CBD의 평균 SNR은 33.07, 32.18, 38.43 였고, Gd-EOB-DTPA사용후 delay 4m때의 평균 SNR은 38.1, 36.33, 43.16, delay 6m때는 37.79, 37.67, 44.46, delay 8m때는 30.24, 35.29, 41.45였다. CNR은 조영전이 평균 22.27, 21.36, 27.59, Gd-EOB-DTPA사용후 delay 4m때는 27.1, 25.32, 32.12, delay 6m때는 26.81, 26.71, 33.41, delay 8m때는 19.14, 24.21, 30.28 였다. delay 8m때의 RHD의 SNR과 CNR만 조영전과 비교해서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0.05) 나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SNR과 CNR이 조영전부터 delay 8m때까지 순차적으로 계속 증가하는 경우는 전체의 47.6%였고, 조영전보다 delay 6m때의 SNR과 CNR이 더 높지만 delay 8m때 감소하는 경우가 전체의 40.5%, 조영전보다 delay 4m때의 SNR과 CNR이 더 높지만 delay 6m, 8m때 감소하는 경우는 전체의 11.9%였다. 정성적 평가는 조영전 RHD, LHD, CBD의 평균점수가 4.48, 4.55, 4.93였고, Gd-EOB-DTPA사용 후 delay 4m때는 4.48, 4.55, 4.86, delay 6m때는 4.12, 4.5, 4.88, delay 8m때는 3.55, 4.1, 4.64 였다. 조영전과 delay 4m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조영전과 delay 6m은 RHD만, 조영전과 delay 8m은 RHD, LHD 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 론:조영전과 Gd-EOB-DTPA사용후 delay 4m때의 영상의 진단적 차이가 없었으며, delay 4m때가 SNR과 CNR이 더 높았기 때문에 delay 4m때 breath-hold 3D T2강조 자기공명 담췌관 조영영상을 얻는것이 검사시간도 단축하고 더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을겄으로 생각되며, 담췌관에 질병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respiratory-triggered 3D T2강조 자기공 명 담췌관 조영영상은 역동적 조영검사 후에 바로 시행하여 delay 6m전에 검사를 획득한다면 담도배설이 시작되기 전에 영상을 획득하거나 담도배설이 어느정도 시작되었어도 높은 신호때부터 영상이 얻어졌기 때문에 조영전과 영상의 차이가 없고 시간을 많이 단축하는 방법이 될거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Pulpose:Using the compressed sensing SPACE technique during MRCP, we obtained images of the precontrast and postcontrast by time interval and found changes in the bile through the image change. Based on this, we wanted to know the optimal acqusition time of 3D T2-weighted MR cholangiopancreatographic image. Materials and Methods:From November 2017 to January 2018, 42 patients who visited our hospital and performed MRCP using Gd-EOB-DTPA were targeted. The MR system used Magnetom Skyra 3.0T(Siemens, Germany). 3D T2-weighted MR cholangiopancreatographic image was acquired at precontrast and postcontrast 4min, 6min, 8min after dynamic MR imaging using Gd-EOB-DTPA with Compressed Sensing SPACE breath-hold technique. After reconstructing this image with a MIP technique, we measured SNR and CNR of RHD, LHD, and CBD. Qualitative assessment was evaluated on a 5 score scale by one of the abdominal specialized radiologist and radiologictechnologist experienced 10 years in MRI. Results:The average SNR of precontrast RHD, LHD, CBD were 33.07, 32.18, 38.43 and post delay 4 min were 38.1, 36.33, 43.16, post delay 6 min were 37.79, 37.67, 44.46, post delay 8 min were 30.24, 35.29, 41.45 after using Gd-EOB-DTPA. The average CNR of precontrast RHD, LHD, CBD were 22.27, 21.36, 27.59 and post delay 4 min were 27.1, 25.32, 32.12, post delay 6 min were 26.81, 26.71, 33.41, post delay 8 min were 19.14, 24.21, 30.28 after using Gd-EOB-DTPA. Compared with the precontras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NR, CNR of RHD at 8 min (p>0.05)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st (p<0.05). SNR and CNR continuously increased from precontrast to post delay 8 min was 47.6 % of the total, SNR and CNR were higher at post 6 min than precontrast but decreased at post delay 8 min was 40.5 % of the total, SNR and CNR were higher at post 4 min than precontrast but decreased at post delay 6 min, 8 min was 11.9 % of the total. Qualitative assessment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s of precontrast RHD, LHD, CBD were 4.48, 4.55, 4.93, post delay 4 min were 4.48, 4.55, 4.86, post delay 6 min were 4.12, 4.5, 4.88, post delay 8 min were 3.55, 4.1, 4.64 after using Gd-EOB-DTPA. Compared with the precontra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4 min (p<0.05),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HD of post delay 6 min and RHD, LHD of post delay 8 min (p>0.05). Conclusion:Because there was no diagnostic difference between precontrast and post delay 4 min using Gd-EOB-DTPA, and SNR, CNR at post delay 4 min was higher than precontrast, obtaining 3D T2-weighted MR cholangiopancreatographic image in 4 min could shorten the examination time and make better images. If triggered 3D T2-weighted MR cholangiopancreatographic image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dynamic MR imaging and it is obtained 6 min before in patients suspected of pancreaticobiliary disease, it will be a way to shorten the time without any difference from precontrast, because it was obtained before the biliary excretion begins or it was obtained from the high signal.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
해피캠퍼스에서는 자료의 구매 및 판매 기타 사이트 이용과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되지만, 자료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안내가 어렵습니다.
자료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판매자에게 직접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구매자료] 에서 [자료문의]
2. 자료 상세페이지 [자료문의]
자료문의는 공개/비공개로 설정하여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됨과 동시에 자료 판매자에게 이메일과 알림톡으로 전송 됩니다.
판매자가 문의내용을 확인하여 답변을 작성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휴대폰번호 또는 이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은 자제해 주세요.
※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찾으시는 자료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판매 중에 있으며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합니다.
1. 자료 검색 시에는 전체 문장을 입력하여 먼저 확인하시고
검색결과에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면 핵심 검색어만 입력해 보세요.
연관성 있는 더 많은 자료를 검색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면? 카테고리, 기간, 파일형식 등을 선택하여 검색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해 보세요.
2. 검색결과의 제목을 클릭하면 자료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자료구성), 페이지수, 저작일, 가격 등 자료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소개글, 목차, 본문내용, 참고문헌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여 원하시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세요
자료는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자료라면 판매가 가능합니다.
해피캠퍼스 메인 우측상단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자료 개별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자료등록 순서는?
자료 등록 1단계 : 판매자 본인인증
자료 등록 2단계 : 서약서 및 저작권 규정 동의
서약서와 저작권 규정에 동의하신 후 일괄 혹은 개별 등록 버튼을 눌러 자료등록을 시작합니다.
①[일괄 등록] : 여러 개의 파일을 올리실 때 편리합니다.
②[개별 등록] : 1건의 자료를 올리실 때 이용하며, 직접 목차와 본문을 입력하실 때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