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회복센터 위탁 보호소년의 자살행동 보호요인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정학회
ㆍ수록지정보 : 矯正硏究 / 33권 / 2호
ㆍ저자명 : 하기량, 정윤조, 허창덕
ㆍ저자명 : 하기량, 정윤조, 허창덕
목차
Ⅰ. 서론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자살행동
2.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청소년회복센터 청소년의 자살행동 보호요인
Ⅵ. 결론 및 제언
1. 요약
2.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소년보호처분 중 1호 처분을 받고 청소년회복센터에 위탁 되어 있는 청 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살행동 보호요인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부산 6개소, 경남 6 개소, 울산 2개소에 소재한 청소년회복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보호청소년 92명을 대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무선적으로 25명을 선택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 다. 그 결과를 보면 자살행동의 보호요인으로 심리적 요인인 감정통제가 인지적 와해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살생각에 환경적요인인 교사지지가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어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자살계획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청소년회복센터의 지지가 유의미한 정적요인으로 밝혀졌다. 자살시 도를 낮추는 보호요인에서는 부(父)와의 친밀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부(父)와의 친밀감은 인지적 와해, 자살생각, 자살계획과 자살시도 사이에서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와해에서 자살시도로 이어지는 경우 에 자살시도를 예방하는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토대 로 보호소년 및 청소년들의 자살예방을 위한 실증적 자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영어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tective factors against suicid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who are under the first protective disposition of the juvenile protection system and entrusted to youth recovery centers. The study surveyed a total of 92 protected adolescents by directly visiting youth recovery centers located in six locations in Busan, six locations in Gyeongnam, and two locations in Ulsan.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5 selected individuals remotely. The results revealed that emotional regulation, a psychological factor, significantly influenced cognitive distortion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suicidal behavior. Furthermore, teacher support, an environmental factor, emerged as a significant protective factor against suicidal ideation. The study also found that support from youth recovery centers played a significant role as a static factor influencing suicide planning. In terms of protective factors reducing suicide attempts, a significant influence was observed from the intimacy with the father figure. Intimacy with the father figur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ve distortion, suicidal ideation, suicide planning, and suicide attempts, indicating a protective effect in preventing suicide attempts when cognitive distortion leads to suicide attemp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provide empirical data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among protected children and adolescents. *참고 자료
없음태그
"矯正硏究"의 다른 논문
- 범죄와 형벌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과 범죄예방교육 필요성에 대한 연구: 유치원 학부모들을 중심으로31페이지
- 마약류범죄의 특성과 예방대책: 청소년, 여성 및 외국인 마약류범죄를 중심으로30페이지
- 교정복지적 관점에 기반한 소년원 퇴원생의 자립지원을 위한 방안 연구22페이지
- 보호관찰청소년의 학업적 정서조절 개입 방안 연구37페이지
- 교정기관 성폭력 심리치료프로그램 효과성 연구31페이지
-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그루밍성범죄피해의 관계에서 우울과 폭력둔감성의 이중매개효과26페이지
- 성폭력범죄 전자감독대상자의 준수사항 위반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38페이지
- 청소년 음주문제 행동이 보호관찰 위반행위에 미치는 영향20페이지
- 수용자 징벌 사유의 미수 규정 필요성에 관한 소고22페이지
- 소년범죄자의 사법처리과정 다중사례연구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