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장마당 세대’의 고난의 행군 시기에 관한 인식과 신념체계의 변화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 / 7권 / 4호
ㆍ저자명 : 강동완, 김범수
ㆍ저자명 : 강동완, 김범수
목차
논문요약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연구방법
2. 연구참여자의 배경
3. 북한 내 세대별 집단기억과 인식
Ⅲ. 장마당 세대의 고난의 행군 시기에 대한 인식과 실태
1. 식량 상황
2. 고난의 행군 시기 신념체계
3. 장마당 세대의 신념체계 변화 요인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대북정책 추진과정에서 집단기억이라는 북한 내부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부터 시작한다. 북한 내부 상황이나 북한 주민의 대남 인식과 북한당국에 대한 충성도와 결집도 등이 고려되 지 않는다면 대북정책의 효과성은 그만큼 낮을 수밖에 없다. 북한 주민 의 세대별 집단기억을 살펴보기 위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을 진행했다. 연구대상은 북한 장마당 세대로 1980~90년대에 태어나 ‘고 난의 행군’ 시기에 유년·청소년기를 겪은 세대이며 이들의 나이는 대략 15~35세이다. 장마당 시기 신념을 주체사상, 우리식사회주의, 당과수령, 미제와 남조선, 자본주의에 관한 인식으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장마당 세 대의 두드러진 집단기억은 무엇보다 국가와 당이 물질적으로 해 준 것이 아무것도 없으며, 이는 곧 우리식사회주의와 주체사상의 이완으로 이어 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신념체계를 무너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 인은 남한 영상물로 대변되는 외부정보에 대한 노출로 나타났다. 이전 세대인 ‘천리마세대’와 비교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명확히 구분하고 있으 며, 특히 당에 대한 충성도와 결집력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장마당 세 대에 관한 집단기억은 향후 대북정책 추진과정에서 북한 주민의 의식구 조를 선이해하여 정책의 효과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영어 초록
This study began by arguing that collective memories, one of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should be considered actively in the process of pushing forward a policy regarding North Korea. If there is no consideration into the internal situation of North Korea, the residents' perceptions of South Korea, and their loyalty and solidarity for the North Korean regime, South Korea's policies for North Korea will drop in effectivenes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broke down their belief system was exposure to external information represented by South Korean videos. Compared with the previous "Cheonrima" generation, the Jangmadang generation distinguished their identity clearly and showed many differences in loyalty and solidarity for the Party. The collective memories of the Jangmadang generation hold significance in that they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outh Korea's policies for North Korea by promoting the prior understanding of the North Korean residents' consciousness structure in the process of driving such policie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과 국제사회"의 다른 논문
- 동북아시아 영토분쟁의 양상에 대한 고찰 : 문학적 관점에서 표출된 한일 간 내재적 갈등과 한국의 집..20페이지
- EU 핵심원자재법 시행과 유럽의 전략적 자율성23페이지
- 중국대학 교수의 그릿,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소통 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 산시성(山西省) 대..33페이지
-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헌법적 평가와 관련자 예우25페이지
- 인구급감시대 한국군의 미래 병역제도 개선에 대한 고찰 : 여성징병제의 주요 이슈와 방안을 중심으 로37페이지
- 박은식의 양명학 수용에 관한 연구 : ‘네이션 만 들기’(nation-building)와의 관련성을..35페이지
- 경쟁가치모형(CVM)에 의한 조직문화, 심리적 주인 의식, 지식공유,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연..26페이지
- 난민정책의 정치 : 2015 부룬디 난민위기와 주변국 대응37페이지
- 학·군 협약 대학 군사학과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교과목 편성 방향을 중심으로25페이지
- 경로의존성과 정책선도자 개념으로 본 경비업법 개정 과정 분석 : 아파트 경비원 관련 논란, 인국공 ..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