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낙안읍성민속마을 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및 평면구성방식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8.28
최종 저작일
2011.12
22페이지/ 어도비 PDF
가격 5,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EasyAI 홍보배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지정보 : 건축역사연구 / 20권 / 6호
저자명 : 김시예, 천득염, 유우상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낙안읍성민속마을의 개황
2-1.역사적 요인에 의한 읍치의 이동
2-2. 다양한 문화교류 접변지역
2-3. 조선시대의 농업경제의 발달
2-4. 낙안읍성민속마을의 현황
3. 낙안읍성민속마을 전통민가의 형식
3-1. 평면유형
3-2. 평면형식의 변화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영어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or plan types of folk houses or traditional vernacular dwellings found in Nagan Folk Village located in Joellanamdo province. Examining the floor plans appeared among 36 vernacular folk houses presumably built in the 19th century in the village by means of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bays of Anche, the mail block of the house, the study was also able to construct a spatial compositional process of floor plan development. The floor plan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basic floor plan type in Nagan folk housing was 'ㅡ' shape, a typical southern dwelling based o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This basic type is consisted of three bays or rooms: Jeongji (kitchen), Anbang (large room), and Jageunbang (small room). New spaces or rooms are added to this three room house to expand the house as the residential functions become more complex, such as more living and storage spaces. The expansion appears to have two direction. On the one hand, it has been taken place by inserting Marea, an open wooden floor living space between Anbang and Jageunbang to meet the extended living demand. On the other, Jeongjibang, a second kitchen/storage has been attached to Jeongji outward for extra cooking and storage. This two-way expansion shows the trend of symmetric expansion between cooking, storing space and dwelling space. It can be implied that the arrangement of house rooms has been structurally formulated and shared by the farmer-builders in the 19th century in Nagan village who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fixed images for housing.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마타하리
  • 영화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시사회 초대 이벤트
유니스터디 이벤트
낙안읍성민속마을 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및 평면구성방식
  • 뮤지컬 마타하리
AI 챗봇
2025년 02월 0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