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주)코리아스칼라
- 최초 등록일
- 2023.08.14
- 최종 저작일
- 2023.06
- 20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5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미래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미래교육연구 / 13권 / 3호
ㆍ저자명 : 김효선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고교학점제 추진배경
2. 고교학점제 실행 방안
3.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2. 분석기준 및 방법
Ⅳ. 연구결과
1. 발표년도 분석 결과
2. 연구방법 분석 결과
3. 연구주제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교육계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고교학점제와 관련한 연구동향과 쟁점을 분석 하고 추후 고교학점제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 목적이 있다. 고교학점제와 관련한 연구는 2017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2017년~2022년까지 고교학점제와 관련된 논문 총 160편을 분석한 결과,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고교학점제 관련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2022년 연구가 다소 주춤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71 편), 양적연구(60편), 질적연구(19편), 혼합연구(10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교학점제 관련 연구 가 게재된 초창기에는 이론중심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2019년부터는 실증연구의 비중이 늘고 있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교학점제 관련 주제분석을 통해서는 인식 및 요구 조사, 교육과정, 해외사 례 등의 순으로 논문이 많이 게재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후 연구로는 대상과 관련하여 비장애인 학생, 농어촌 학생에 대한 경험 연구, 주제와 관련하여 평생교육과 융합한 고교학점제 등에 대한 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nd issu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has recently become a major issue in the education community,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has been discussed in earnest since 2017. From2017 to the present,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n explosion of research in 2021. A total of 160 articl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ere analyzed from 2017 to 2022, and th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 studies (71) and quantitative studies (60). In the early year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related research, theory-driven research was dominant, but since 2019, the share of empirical research has been increasing. By analyzing the topic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was analyzed that the most articles were published in the order of awareness and demand research, curriculum, and overseas cases. In the future, there will be a need for research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non-disabled students and rural students in relation to a specific subject. Additionally, research on the integ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th lifelong education in relation to that subject will also be necessary. These research areas will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inclusive education, equitable access to learning opportunities, and the integration of lifelong learning in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