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age Quality of Facial MRI Examination Using the Denoising K-Space Deep Learning Technique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ㆍ수록지정보 :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 33권 / 2호
ㆍ저자명 : Seong-Geon Kim, Bong-Kyeong Son, Gyeng-Rip Kim, Jang-Seon Yoo, Yonug-Jin Jung, Jong-Hyeok Kwak
ㆍ저자명 : Seong-Geon Kim, Bong-Kyeong Son, Gyeng-Rip Kim, Jang-Seon Yoo, Yonug-Jin Jung, Jong-Hyeok Kwak
목차
Ⅰ. 서 론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3. 통계적 분석 방법 및 영상 평가
Ⅲ. 결 과
1. 정량적 평가
2. 정성적 평가
Ⅳ. 고찰 및 결론
한국어 초록
안면 부 MRI 검사는 주변 조직에 대한 높은 대조도 와 해상력으로 해부학적 구조 파악과 질환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 검사 시간을 줄이는 동시에 영상의 질을 향상하는 딥러닝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안면 부 MRI 검사에서 딥러닝 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딥러닝 T2 강조 영상과 고식적인 T2 강조 영상의 축상면, 관상면 영상을 각각 획득하여, 무참조 영상 품질평가 기법인 NIQE와 NIMA를 통하여 정량적 평가하였고, 리커트 4점 척도를 통해 정성적 평가하였다. NIQE 결과에서 딥러닝 T2 강조 영상은 고식적인 T2 강조 영상보다 영상 품질이 우수하였고, NIMA 결과에서는 딥러닝 T2 강조 영상의 축상면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딥러닝 T2 강조 영상의 관상면에서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성적 평가지표에서는 입 인두, 후두 인두에서 질적인 이득이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안면 부 영역 중 무의식적인 움직임이 많은 영역에서 딥러닝을 적용함으로써 고식적인 T2 강조 영상보다 높은 영상의 품질 을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덜한 구조물에서도 품질을 유지하며 검사 시간을 2분 이상 단축하여 움직임에 의한 인공 물을 감소시킴으로써 응급 환자 및 비협조 환자의 진단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 된다.영어 초록
Facial MRI examination is being utilised for anatomical structure identification and disease diagnosis, providing high contrast and resolution of the surrounding tissues. Deep learning, which aims to enhance image quality while reducing examination time has gained attention in recent years. In this study, the usefulness of deep learning in facial MRI examination was investigated. Thirty-four patients were included, while both deep learning T2-weighted images and conventional T2-weighted images were acquired in axial and coronal planes. The images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employing Natural Image Quality Evaluator (NIQE) and Neural Image Assessment (NIMA), as well as qualitatively assessed using a Likert 4-point scale. The NIQ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ep learning T2-weighted images had superior image qualit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2-weighted images. In terms of NIMA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xial plane between the two image types, b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ronal plane of the deep learning T2-weighted images. Qualitative evaluation demonstrated qualitative benefits in the oral and pharyngeal region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in areas of the face with unconscious movement can provide higher image quality than conventional T2-weighted images. Additionally, deep learning can maintain quality in structures with relatively less motion, reduce examination time by more than two minutes and decrease artefacts caused by movement, thus proving useful in the diagnosis of emergency and uncooperative patients.참고 자료
없음"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의 다른 논문
-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Subcortical Volume in Sch..9페이지
- Optimization of Parallel Techniques Using the Arms-up P..8페이지
- Usefulness Evaluation of Gadoxetic Acid–Enhanced Hepato..9페이지
-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T2 Imagi..9페이지
- Comparison of the Sedation Method Using Chloral Hydrate..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