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한성 개체 선발을 위한 국내품종 차나무의 봉화지역 생육 특성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ㆍ수록지정보 : 농업생명과학연구 / 57권 / 3호
ㆍ저자명 : 임현정, 이재선, 용성현, 최명석, 윤여목, 김종철, 황정규, 송기선
ㆍ저자명 : 임현정, 이재선, 용성현, 최명석, 윤여목, 김종철, 황정규, 송기선
목차
초록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시험지 환경
2. 봉화지역 차나무 생육 조사
결과 및 고찰
1. 시험지 환경
2. 차나무 생장 조사
감사의 글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차나무 품종을 대상으로 연평균 기온이 낮은 봉화군에 식재하여, 봉화지역 차나무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봉화군 시험지 토양 조사 결과, 시험지별 토양의 pH, EC, 치환성양이온, 유효인산은 적정수준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대체로 낮은 수치로 조사되었 다. 봉화군 시험지 기온 조사 결과, 최저 기온은 소천면이 -14.1℃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춘양면 -12.6℃, 명호면 -12.6℃, -10.2℃ 순으로 모든 시험지는 -10℃ 이하의 낮은 온도로 조사되었다. 차나무 재배 생육평가 결과, 명호면 시험지에서 생육 정도가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소천면, 온실, 춘양면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재배품종 보향과 대조품종 다산은 시험지 생장량과 광합성량이 다른 수종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였 다. 봉화지역과 하동지역에 식재된 참녹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catechin과 caffeine 함량을 조사한 결과, Catechin 함량은 EGC와 EC, EGCG 함량은 하동이 높게 조사되었고, 반면 ECG는 봉화지역의 참녹이 월등히 높았다. 총 catechin 함량은 봉화 5.23%, 하동 5.22%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Caffeine 함량은 봉화 0.05%, 하동 0.38%로 하동지역의 참녹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봉화군 차나무 재배 생육평가 결과 명호면, 소천면이 차나무 재배에 유리할 것이며, 봉화지역 차나무 재배 시 재배품종 보향과 대조품종 다산은 재배 적응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영어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growing Camella sinensis in the Bonghwa region by planting the domestic C. sinensis cultivars selected in previous studies in Bonghwa, where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is low (9.2℃). As a result of soil investigation in the Bonghwa test site, the soil for each test site was irradiated with appropriate levels of pH, EC, substitutional cations, and effective phosphoric acid. The organic matter content was generally low. As a result of the temperature survey at the Bonghwa test site, Socheon had the lowest temperature at -14.1℃, followed by Chunyang at -12.6℃, Myeongho at -12.6℃, Greenhouse –10.2℃. As a result of the growth evaluation of C. sinensis, the Myeongho test site had the best growth, followed by Socheon, Greenhouse, and Chunya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ertility of the cultivated cultivars Bohyang and Dasan had higher growth and photosynthesis than the other species. The contents of catechin and caffeine, the main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of C. sinensis planted in Bonghwa and Hadong, were investigated. EGC, EC, and EGCG catech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adong than in the Bonghwa and Chamnok in the Hadong area. The total catechin content was similar, 5.23% in Bonghwa and 5.22% in Hadong. Caffeine content was 0.05% for Bonghwa and 0.38% for Hadong. In this study, due to the growth evaluation of C. sinensis in Bonghwa, Myeongho and Socheon are advantageous for cultivating C. sinensis. Also, It is considered to have high cultivation adaptability of Bohyang and Dasan.참고 자료
없음태그
"농업생명과학연구"의 다른 논문
- 국내 과수작물 재배시 사용되는 비료의 종류 및 사용량 평가6페이지
- 고온 환경에서 사료내 트립토판과 나이아신의 단독 혹은 혼합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난품질, 지방간..11페이지
- 체외 소화과정 동안 Gastric lipase의 첨가가 반려견 사료의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6페이지
- Effects on the Productiv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o..7페이지
- Effects of Dietary Vitamin C, Vitamin E, and Betaine Su..11페이지
- 4원교잡종 토종닭 산란계와 하이라인브라운 산란계의 산란후기 계란 품질특성6페이지
- 난대림과 도시에서의 경관감상이 대학생의 심리・생리에 미치는 영향10페이지
- GC-MS-based Metabolomics Reveals the Metabolic Profile ..10페이지
- Effect of Polyphenol Preparation Treatment on Growth an..11페이지
- 대구, 경북지역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와 요인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