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작물 필요수량 및 공급량을 고려한 가뭄의 시계열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ㆍ수록지정보 : 농업생명과학연구 / 57권 / 2호
ㆍ저자명 : 신형진, 이재영, 이보현, 이재남, 차상선, 황선아, 박찬기
ㆍ저자명 : 신형진, 이재영, 이보현, 이재남, 차상선, 황선아, 박찬기
목차
초록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대상지역 선정
2. 밭작물의 필요수량 및 공급량 조사
3. 밭가뭄 지역 등급화
4. 맨-켄달 검정법
결과 및 고찰
1. 대상지역 공급량 산정 분석
2. 경향성 분석
3. 지역별 용수 부족시기
감사의 글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최근 기후변화로 가뭄, 홍수 등 재해의 빈도와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재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시공간적 현황 파악을 통한 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지역별 밭작물의 필요수량과 공급량을 고려하여 밭가뭄 지역 등급화 실시하였고, 월별 비교를 통해 가뭄 취약 시기를 파악하였다. 전국 148개 지역 중 안전지역(Ⅰ), 안전지역(Ⅱ), 우려지역, 상습지역으로 구분한 25개 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이 지역의 월별 필요수량 대비 공급량 분석을 하였다. 필요수량 산정의 재배작물은 콩으로 선정하였으며, 공급량은 공공관정, 민간관정, 상수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필요수량 대비 공급량이 봄철은 안전지역(Ⅰ), 안전지역(Ⅱ), 우려지역, 상습지역에서 각 1,281.5%, 667.6%, 729.5%, 316.3%, 가을철에는 각 436.0%, 212.8%, 213.9%, 105.3%로 공급이 충분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여름철에는 각 82.4%, 40.6%, 42.6%, 20.0%로 용수공급 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콩의 재배 기간인 5~9월에 관정(공공+민간)으로의 공급량은 대부분 지역에서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용수 부족이 발생하는 재배기간 동안 용수확보 방안이 필요하다.영어 초록
Recently,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disasters such as droughts and floods have been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prepare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time and space to reduce the damage of such a disaster. In this study, to minimize the damage of drought, field drought areas were grad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or each region, and a monthly comparison identified the period of drought vulnerability. 25 out of 148 regions were selected nationwide, divided into Drought-safe areas (I), Drought-safe areas (II), Drought-concerned areas, and Drought-prone area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compared to the monthly required water in this region. Soybeans were selected among cultivated crops to calculate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was obtained by analyzing public and private tube well, and water supply data. In spring, the amount of water supply compared to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was 1,281.5%, 667.6%, 729.5%, and 316.3% in drought-safe areas (I), drought-safe areas (II), drought-concerned areas, and drought-prone areas, and in autumn, 436.0%, 212.8%, 213.9%, 105.3% respectively, which was analyzed to be sufficient. However, in summer, 82.4%, 40.6%, 42.6%, and 20.0%, respectively, which was insufficient. Between May and September, the soybean cultivation perio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ube wells (public + private) was analyzed to be insufficient in most regions.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judged that a plan to secure water will be necessary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when water shortages occur.참고 자료
없음태그
"농업생명과학연구"의 다른 논문
- 저탄소인증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성향과 행태 연구6페이지
- 동계 채소 농가의 위험관리를 위한 작물 면적 배분 연구7페이지
- 이산요소법을 이용한 식용 옥수수 줄기 모델 개발11페이지
-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배추 수확기 수집부 견인 고리 구조해석11페이지
- 흰점박이꽃무지(딱정벌레목 : 풍뎅이과) 3령 유충의 사육 밀도 조건에 따른 발육특성 연구6페이지
- 주요 참나무류의 경쟁-밀도효과 곡선 유사성 비교7페이지
- 차광처리에 따른 후박나무 용기묘의 생리 및 생장 반응11페이지
- 차광처리에 따른 헛개나무 1년생 용기묘의 생장 특성10페이지
- 영남평야지에서 벼 극조기 이모작 작부체계를 위한 적합 벼 품종 및 이앙시기14페이지
- 세 가지 LED 광질이 상록바위솔 ‘블랙탑’의 생장과 엽색에 미치는 영향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