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신체활동과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사이의 인지기능의 매개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ㆍ수록지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31권 / 1호
ㆍ저자명 : 진연주, 홍익표
ㆍ저자명 : 진연주, 홍익표
목차
국문초록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변수
4. 자료분석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신체활동과 IADL 자립도 사이의 인지기능의 매개효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한국어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신체활동 참여와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자립도 사이의 인지기능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연구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코호트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활용하여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자격을 유지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 약 600만 명 중 신체활동 설문에 참여한 3,980명의 자료를 활용하 였다. 신체활동과 IADL 사이의 인지기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평균 연령은 81.6세였으며, 여성이 72.74%였다. 인지기능의 부분매개 효과는 고강도 운동에서 68%로 IADL의 자립도에 가장 크게 나타났다(β = 0.07, 95% Confidence Interval; CI = 0.05, 0.09). 다음으로 중등도 운동은 66%(β = 0.08, 95% CI = 0.06, 0.10), 걷기 운동은 52%(β = 0.12, 95% CI = 0.11, 0.14) 순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과 IADL 자립도 사이의 직접효과는 걷기 운동에서 48%(β = 0.11, 95% CI = 0.09, 0.14)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중등도 운동은 35%(β = 0.04, 95% CI = 0.02, 0.07), 고강도 운동은 32%(β = 0.03, 95% CI = 0.01, 0.06)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신체활동과 IADL의 관계에 인지기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 의 건강하고 활동적인 노화를 위해 신체활동과 인지기능을 결합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고려되어야 한다.
영어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and independence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Methods: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design that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IADL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We retrieved 3,980 beneficiaries from the 6 million people eligible for the Korean health insurance and benefits, between 2002 and 2015. The study subjects were 60 years and older and have completed the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We estimated the indirect effect of physical activity through cognitive function on the independence of IADL.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beneficiaries was 81.6 years (SD = 5.5), and 72.74% were female. Among the three physical activities, the vigorous-intensity exercise showed the largest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independence of IADL (β = 0.07, 95% confidence interval; CI: 0.05, 0.09). However, the walking exercise showed the largest direct effect on the independence of IADL (β = 0.11, 95% CI: 0.09, 0.14).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IADL. The study findings would help clinicians establish a complex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that utilizes both physical and cognitive therapeutic modalities for old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