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각본 이론을 적용한 여대생의 성 행동 영향 요인 분석
(주)코리아스칼라
- 최초 등록일
- 2023.06.05
- 최종 저작일
- 2021.02
- 22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8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융합인문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융합인문학 / 9권 / 1호
ㆍ저자명 : 김근면, 장수정
목차
요 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선정과 자료수집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변수 특성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구변수의 차이 검정
3. 주요 변수들의 상관관계
4. 성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Ⅳ. 논의
Ⅴ .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성 각본 이론을 기초로 여대행의 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한국 여대생의
성 행동을 이해하고, 한국여대생의 성 행동 모델이라는 한국의 독특한 문화를 반영한 이론 형성과 성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강원지역의 183
명의 여대생으로 대상으로 성 행동, 성 역할가치관, 성 주체성, 성 이중기준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피어슨 상관계수와 단계적 회귀분석방법
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여대생의 성 주체성이 높을수록 성 행동 점수가 높았으며 성에 대해 개방적
이고 진보적인 기준을 가지고 있을수록 성 역할가치관에 있어 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 주체성
이 여대생의 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건강한 성 행동을
위해서는 자신의 몸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고 자기를 보호할 수 있는 올바른 성 주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이를 바탕으로, 여대생을 위한 성 건강 증진 프로그램에 성 주체성을 필수 내용으로
포함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영어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sexual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by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heir sexual behaviors based on the sexual script theory,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 theory that reflects the unique culture of Korea, and a sexual health promotion program. This study investigated sexual behaviors, value of sexual roles, sexual subjectivity, and sexual double standards, with 183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as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3.0 program. In this study, the higher the sexual subjectiv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higher the sexual behavior score was, and in terms of sexual roles, the more open and progressive their sexual standards, the higher their sense of equality was. Moreover, sexual subjectivity was identified as an intervening factor affecting sexual behaviors of tho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s result suggests that, for healthy sexual behaviors, it is important for one to establish the right sexual subjectivity to protect themselves, with their own right to decide on sexual behaviors. Based on this result, we suggest that sexu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should also deal with sexual subjectivity.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