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글 순음(脣音)・후음(喉音)의 오행배속 (五行配屬)에 대한 성명학적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6.05 최종저작일 2018.08
22P 미리보기
한글 순음(脣音)・후음(喉音)의 오행배속 (五行配屬)에 대한 성명학적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융합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융합인문학 / 6권 / 3호
    · 저자명 : 이재승, 김만태

    목차

    요 약
    I. 서 론
    II. 훈민정음 자음(子音)의 오행배속 원리
    III. 『훈민정음운해』의 자음오행 배속
    IV. 순음・후음의 한글오행과 성명학의 과제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1750년, 신경준이 저술한 『훈민정음운해(訓民正音韻解)』에 따라 순음(脣音) ㅁ・ㅂ을 水, 후음(喉音) ㅇ・ㅎ을 土로 오행을 배속하는 법이 성명학에서 다수설(多數說)로 정착되었으나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원본인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는 순음 ㅁ・ㅂ을 土, 후음 ㅇ・ㅎ을 水로 배속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로 인해 야기된 혼란을 해소하고자 국어학과의 융합연구를 통해 훈민정음의 자음오행 배속원리를 궁구한 후, 『훈민정음운해』의 오행 배속법이 갖는 음운학(音韻學)적인 역사와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말 음운과 중국 한자음운의 오행배속을 각각 달리 본 신숙주의 인식체계가 신경준으로 이어졌으며 『훈민정음운해』의 궁극적 저술 목표는 중국의 한자 음운체계와 소통(疏 通)하기 위한 ‘한자음운도(漢字音韻圖)’에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우리말 음운을 우리글로 적으려고 한 한글 창제의 주된 취지, 음운(音韻)이 시대・환경에 따라 분별되는 성향, 순 한글과 한자의 발음이 동일한 현대의 음운적 특징에 의거하여 『훈민정음해례』의 오행 배속이 더 합당하다는 결론을 이끌었다. 또한 한글이 발음기관의 동작이나 모습을 상형(象形)한 문자이므로 한글 자형오행(字 形五行)을 도입하고 오행배속은 『훈민정음해례』에 준(準)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Based on the Hunminjeongeum-unhae that Gyeong-jun Shin wrote in 1750, the method of assigning labials, ‘ㅁ(m)’ and ‘ㅂ(b)’, to the water elements and gutturals, ‘ㅇ(no phonetic value)’ and ‘ㅎ(h)’, to the land elements has been established as the majority opinion in naming science. However, the original promulgation of hangul, the Huminjeongeum-haerye, that was discovered in 1940, assigns labials, ‘ㅁ(m)’ and ‘ㅂ(b)’, to the land elements, and gutturals, ‘ㅇ(no phonetic value)’ and ‘ㅎ(h)’, to the water elements. To eliminate the confusion arising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ers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inciples in the Five Element Assignment set forth in the Explication of Korean Phonology in connection with the study of Korean linguistics and examined the history and background of the Five Element Assignment in the Hunminjeongeumunhae in terms of phonolog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yeong-jun Shin embraced Sug-ju Shin's recognition that Korean and Chinese phonological should be viewed differently, and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Hunminjeongeum-unhae lay in the ‘Phonological Map in Chinese Character’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nection with the phonological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method of Five Element Assignment as suggested by the Huminjeongeum-haerye is more appropriate for the following reasons: classifying phonemes according to the main purpose of creating Hangeul; to write Korean language (phonemes) in Korean alphabet, the tendency that phonem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times, and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the pronunciation of pure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s the sam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the Five Elements based hangeul characters since hangeul alphabet letters are derived from the movements or the shapes of the speech organs, and application of the Huminjeongeum-haerye for the Five Element Assig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융합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