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의 지역적 격리상태에 관한 연구 -대전을 중심으로 한 자원 요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0. 개요
1. 전제 특성
1-1. 노인 특성
1-1-1. 노인 일반특성
1-1-2. 노인 거주특성
1-2. 대전 지역 및 거주 특성
2. 대전의 자원과 지역
2-1. 자원지표
2-2. 지역지표
2-3. 대전 내 우세, 열세 지역구분
3. 결론
3-1. 연구의 한계점
3-2. 느낀 점
4. 참고 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한국은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중이다. 특히 한국에서 문제가 되는 이유는 그 속도에 있다. 대비를 하기엔 너무도 이르게 고령화가 되었다. 그래서 곳곳에 노인을 고려하지 않은 문제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는 노인을 무시한 것이 아닌,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부딪힌 요소로 분석된다. 즉, 기존의 것들은 노인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노인과 충돌하듯 보인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우리는 다양한 노인 문제들을 여러 시점해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해당 연구는 노인의 거주 지역과 자원 우세 지역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더 나아가, 해당 지역의 정책 지향성으로 노인이 배제되고 있진 않은 지 밝혀내고자 한다.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 사람들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도시로 이동했다. 자원의 차이를 극복하고자 더 많이 모인 곳으로 향한 것이다. 농촌과 도시의 빈부격차가 커지는 것처럼, 도시 간에도 차이가 생기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은 국토 종합 개발 계획을 통해 국가 개발을 실시하였다. 1972년부터 1981년까지 1차 계획은 거점 중심 개발이었다. 경부선을 시작으로 서울과 부산을 중심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인구가 집중되었고, 도시간 격차가 커져갔다. 그리고 현재 세종을 통한 행정 분리로 수도권의 인구 과밀 현상을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균형 개발을 통한 지역 균등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수도권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지만, 여전히 1000만명이 가깝게 거주하고 있다. 좋은 직업, 많은 돈, 사람들은 더 나은 환경을 찾기 마련이다. 좋은 것과 나쁜 것 중 하나를 고르라고 말을 한다면, 당연히 좋은 것을 고른다. 서울은 과도한 개발을 통해 이미 충분한 자원들이 모여 있는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도권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움직일 수 없는 사람들은 자리를 지킬 수밖에 없다. 거주지, 자본, 건강상태 등을 문제로 사회적 이동의 반경이 좁은 것이다. 이들은 자리를 지킬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일종의 지역적, 사회적 격리 상태가 된다.
참고 자료
한국의 사회동향 2019, 통계청
2017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주거환경 및 삶의 만족도 비교, 2013, 정재훈
고령자 주거실태와 주거정책방향, 오승원
대전•세종지역 청년인구감소의 지역 내 불균형, 2019, 대전세종연구원
노년 가구의 주거 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2014, 고진수•최막중
노년기 거주 현황과 과제, 거주 실태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2016, 정경희
노인 건강수준의 지역 간 격차 비교, 2015, 이윤정
노인 생활만족도의 지역효과 분석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11, 이혜자•전동일
노인가구의 주거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15, 강은택•정효미
노인가구주가구의 지역 간 주거실태 비교연구, 2017, 신용주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건강불평등, 심리사회적 기제들의 메개효과 분석, 2016, 장수지•김수영
노인의 사회적 배제 특성, 주거 점유형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관계망의 완충효과, 2015, 전병주•최은영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2012, 이묘숙
노인의 주거관련 요인과 삶의 만족도, 2011, 박성복
노인주거문제와 지원방안, 2013, 천현숙•오민준, 국토정책
농촌과 도시지역 노인의 신체활동력, 사회관계망 및 우울증의 차이, 2007, 지용석•구창모
도시 취약계층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수준과의 관계, 2010, 김숙영•최경원•오희영
사회적 지지가 중소도시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2015, 김정유•최유석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2000, 김정석•김익기
우리나라의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2003, 최현수•류연규
주거환경이 노인의 활동 및 자립적 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2013, 김용진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 요인의 성별 차이, 2018, 최해경•김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