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Equit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유화학회
ㆍ수록지정보 : 韓國油化學會誌 / 39권 / 6호
ㆍ저자명 : Kyung-Shin Paek
ㆍ저자명 : Kyung-Shin Paek
목차
Abstract요 약
1. Introduction
2. Research Methods
2.1. Research design
2.2. Subjects of study
2.3. Research Instruments
2.4. Data analysis method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청소년기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개인의 전반적인 사회·정서적 기능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 시기 건강관련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형평성의 관계 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2020) 자료를 이용하여 39,987명의 청소년을 분 석하였다. 건강형평성은 거주 지역, 학생들이 인식하는 경제적 여건, 가구의 풍요도, 가족형태, 부모 교육수 준 등을 지표로 사용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평소 자신의 건강이 어떠하다고 생각하는가?” 라는 질문 에 건강군("매우 건강하다", "건강하다")과 불 건강군("보통이다", "건강하지 않다", "매우 건강하지 않다")으 로 분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이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된 유의한 요인은 거주 지역(OR=0.865, p=.031), 경제 수준(OR=1.338-2.095, p<.001), 가족 형태(OR=1.245, p=.033)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지각한 경제수준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 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해 자신의 건강상태를 건강하 지 못하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경제수준이 낮은 청소년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지속적 인 관심과 건강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이 요구된다.영어 초록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ce reflects one's overall socio-emotional function and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uring this period.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equity of adolescents. Data from the 16th online survey of youth health behavior (2020) was used to analyze 39,987 adolescents. Health equity was used as indicator for residential areas, economic conditions perceived by students, household abundance, family type, and parental educa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classified as a healthy group("very healthy", "healthy") and unhealthy group("normal", "unhealthy", and "very unhealthy") in response to the question "how do you think your health is usuall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analysis by using SPSS/Win 22.0.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subjects were the area of residence (OR=0.86, p=.031), economic level (OR=1.33-2.09, p<.001), and family type (OR=1.24, p=.033). The economic level perceived by adolescents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related to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ften perceived their health as unhealthy compared to adolescents from general famil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interest in adolescents with low economic levels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pecific strategies to improve their health status.참고 자료
없음태그
"韓國油化學會誌"의 다른 논문
- 김치에서 분리한 Weizmannia coagulans KK7으로 발효한 당근 잎 추출물의 함염증 활..9페이지
- Manufacture of Water-borne Biopolyurethane Film Based o..8페이지
- 12주간 수중걷기운동이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hs-CRP, 인슐린 저항성 및 혈압에 미치는 ..10페이지
- 청소년 지위비행의 위험군 탐색에 관한 연구14페이지
-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9페이지
- 개똥쑥 용매추출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9페이지
- 소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용분야 대학생 창업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탐색적 데이터 분석법을 기..11페이지
- 중소병원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14페이지
- Indole-3-acetic acid (IAA) 생성 Arthrobacter sp.의 분리 및 식물..8페이지
- 골프웨어 브랜드 진정성과 브랜드 애착 및 충성도 간의 구조적 모형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