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 - 석기~철기 전환의 전단계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8.04
26P 미리보기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 - 석기~철기 전환의 전단계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동기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靑銅器學報 / 22권
    · 저자명 : 이기성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석기에서 금속기로의 전환 과정 : 인식과 문제점
    1. 석기-금속기 전환과정의 인식
    2. 문제의 소재
    Ⅲ.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
    1.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 유적
    2.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
    Ⅳ. 원형점토대토기 문화 석기 기종 구성의 문제점과 배경
    Ⅴ. 맺음말

    초록

    한반도의 석기-금속기 전환 과정은 청동기시대 중기 후반부터 원형점토대토기 문화를 거쳐, 삼각형점 토대토기 문화까지로 말해지고 있다. 이 과정 중에서, 위신재는 석기에서 청동기로, 실용기는 석기에서 철기로 대체되었다고 이야기되며, 이러한 인식에는 청동기시대 중기부터 삼각형점토대토기 문화까지 동일한 문화 계통, 생업경제를 영위했다는 전제가 깔려 있는 듯하다. 그러나 실제 고고학적 양상은 그리 명확하지 않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도구의 재질 변화는, 기존의 재질은 점차 줄어들고 새로운 재질이 점차 증가하는 ‘과도기’ 또는‘이행기’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재질이 완전히 정착되는 흐름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석기에서 철기로의 변화는 그러하지 않다. 철기가 등장하기까지는 수백 년간의 시간적 공백이 존재한다. 또한 원형점토대토기 문화는 토착의 청동기시대 중기 문화와는 계통을 달리하는 것으로, 이후 삼각형점토대토기 문화에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석기에서 철기로의 전환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이다. 즉 청동기시대 중기 에서 원형점토대토기 문화를‘석기의 감소’로 보아야 할 것이 아니라 청동기시대 중기의 석기 기종과 수량의 풍부함과 대비되는 현상으로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양상을 확인하고 그 배경을 검토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을 검토하고, 석기 기종 구성의 편중은 목기의 사용과 일회적인 석기 제작·사용 방식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영어초록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Stone Age to the Metal Ages in the Korean Peninsula ranges from the Middle and Late Bronze Age to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to the stage of pottery with triangular round clay stripes. During this period, stone tools were replaced with bronze tools for prestige goods, and stone tools were replaced with iron tools for practical tools. However, the actual archaeological patterns of these changes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A general perception is that changes in materials used for tools should undergo the “transition period” during which existing materials gradually decrease and new materials steadily increase, and then reach the stage in which the adoption of new materials is fully established. However, this was not the case for the transition from the Stone Age to the Iron Age. A substantial number of stone tools types were not identified in the ancient remains, and a time gap was found with hundreds of years passing until the appearance of iron tools that would replace stone tools. In addition, the cultur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did not descend from the culture of the indigenous Middle Bronze Age. The transition from stone tools to iron tools,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stage of pottery with triangular clay stripes, was directly linked with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In other words, the period from the Middle Bronze Age to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s should not be viewed as the one marked by “decreases in stone tools”. Rather, the development of stone tools in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should be identified as a phenomenon that contrasts with abundance in the type and quantity of stone tools in the Middle Bronze Age, and the background of this development should be reviewed accordingly. In this study, a review was performed on the development of stone tools in the Hoseo region in the cultur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As a result, the use of wooden tools and the production methods for stone tools were considered the factors that caused the unequal distribution of stone tools typ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靑銅器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