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지심리에 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미래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미래교육연구 / 7권 / 2호
ㆍ저자명 : 김효선, 박상욱
ㆍ저자명 : 김효선, 박상욱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교육 담당교사가 인지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필요성, 다문화가 정 학생에 대한 인식과 태도, 다문화교육 실천 시 교사의 역할에 관하여 심리학 측면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의 절대적 필 요성에 공감하고 있었다. 그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하여 중요하게 생각하게 된 중심적 기재는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모습이었다. 또한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위한 평등교육, 문화 다양성 및 반편견·반차별 등에 관한 인식 개선, 태도 변화, 교사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학교 다문화교육의 목표를 문화의 다양성 이해,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의식 및 세계시민의식 함양, 반편견·반차별 의식을 앞세운 다문화 감수성 등 전반적 다문화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지 심리를 고취시키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그들의 역할이 문화전달자, 소통 촉진자, 프로그램 전달자, 학부모 관리자 등 다양한 체험을 통하여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지 심리를 체득하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사들은 학교 다문화교육의 긍정적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근간으로 한 정책적 시사점은 무엇보다 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지심리 즉 이의 관심과 실천성을 높일 수 있는 실용성 있는 정책적인 지원과 교사들 개개인의 자기계발 즉 배움공동체를 경주하기 위한 정책적·제도적 시스템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영어 초록
about educational objectiv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erceptions and attitudes to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role of educational practice.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is study made use of qualitative interview data with teachers who are very interested in and active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understanding cultural diversity, rais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with anti-prejudice, anti-discrimination awareness, developing community consciousness and global citizenship. Teachers reflect on prejudices and prejudices about multicultural students and try to maintain positive relationships and attitudes with them. In addition, teachers' experience of implementing multicultural education has enabled their roles to be diversified into cultural mediators, communication facilitators, program planners, and parents' facilitators. Teachers thought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nvironment could be changed by providing these diverse and comprehensive roles.In this context, various efforts will be needed to create multicultural environment in school in which teachers can create recognition psychology and knowledge. First, policy support should be preceded. Teachers' training and workshops should be activated to improve the cultural sensitivity of teacher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and shared. Teachers should also try to develop their self-improvement for understanding to culturally sensitive and multicultur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