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분의 주원료 판별을 위한 유전자 분석법 개발 및 적용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28권 / 2호
ㆍ저자명 : 박용춘, 김미라, 김용상, 이호연, 김규현, 이재황, 김재이, 이상재, 이화정
ㆍ저자명 : 박용춘, 김미라, 김용상, 이호연, 김규현, 이재황, 김재이, 이상재, 이화정
목차
ABSTRACT서 론
재료 및 방법
시약 및 검체 구입
유전자 추출 및 WGA kit 사용
전분의 원료 확인을 위한 목표 유전자 및 프라이머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반응액 조성 및 반응조건
결과확인
결과 및 고찰
유전자추출 방법별 추출효율 비교 및 PCR 수행
감자 전분의 PCR 결과 분석
고구마 전분의 PCR 결과 분석
옥수수 전분 및 타피오카 전분의 PCR 결과 분석
전분의 사용원료 확인에 적용성 검토
요 약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전분의 사용원료를 확인하는 방법은 전분입자의 크기 또는 형태 등으로 분류하는 이화학적인 방법이 연구되었으나 원료별 또는 동일한 원료라도 품종에 따른 차이점으로 인하여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유전자분석법을 시도하였다. 시료는 고구마 전분,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및 타피오카 전분 등 총 11종을 사용하였으며, 유전자추출은 DNeasy plant mini 키트, magnetic DNA purification system 및 CTAB 방법으로 하였으며 추출유전자의 증폭을 위하여 WGA 키트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고구마, 감자, 옥수수 및 타피오카 검출을 위한 유전자 부위는 SSR (simple sequence repeat, ib-286-F/ib-286-R), 자당합성효소 (potato sucrose synthase, Pss 01n-5'/Pss 01n-3'), 전분합성효소(starch synthase, SSllb 3-5'/SSllb 3-3') 및 SSR (SSRY26- F/SSRY26-R)를 각각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 WGA를 처리한 경우에는 사용원료의 확인이 가능하였다.영어 초록
Identification of main ingredients in starches has been investigated using physicochemical analysis method mainly. Howev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particle size have limitations in determining the differences among mixed starches. Therefore, we developed a molecular biological method to identify materials used in starch, as a sample, 11 kinds of starches including sweet potato starch, potato starch, corn starch, and tapioca starch. DNeasy plant mini kit, magnetic DNA purification system, and CTAB methods were used to extract DNA from samples. After gene extraction, whole genome amplification (WGA) was performed to amplify the extracted DNA. Species- specific primers were used as followings: ib-286-F/ib-286-R (105 bp), Pss 01n-5'/Pss 01n-3' (216 bp), SS11b 3- 5'/SS11b 3-3' (114 bp), and SSRY26-F/SSRY26-R (121 bp) gene for sweet potato, potato, corn, and tapioca,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could confirm the main ingredients using WGA and PCR method.참고 자료
없음"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의 다른 논문
- PSL, TL, ESR 및 GC/MS 분석을 통한 감마선 조사된 유지종실류의 검지 특성 연구8페이지
- 식품 중 사용금지 원료인 Aphanizomenon flos-aquae 검출법 개발 및 응용6페이지
- 파프리카에서 병원성 대장균의 성장예측 모델 개발 및 검증6페이지
- 토마토의 생산·유통단계에서 유해미생물 오염 및 추출물에서 미생물 증식7페이지
- 곡류 및 그 가공품 중 아플라톡신과 데옥시니발레놀의 안전성 평가10페이지
- 랫드에서의 t-BHP 유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기능성 들깻잎 열수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6페이지
- 제 2형 당뇨모델 OLETF 랫드에서 동충하초의 항당뇨 효과6페이지
- 보육시설 유아 사용 수건의 미생물 분포 및 독소 특성8페이지
- PCR을 이용한 식품 중 알레르기 유발물질 검출법 개발6페이지
- 최근 3년(2008-2010)간 식품안전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운영 현황 분석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