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의 생산·유통단계에서 유해미생물 오염 및 추출물에서 미생물 증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28권 / 2호
ㆍ저자명 : 윤혜정, 박경훈, 류경열, 김병석
ㆍ저자명 : 윤혜정, 박경훈, 류경열, 김병석
목차
ABSTRACT서 론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추출물 제조
미생물학적 오염분석
토마토 추출액의 미생물 생육억제 효과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생산단계에서 미생물 오염도 조사
유통단계에서 미생물 오염도 분포
세척방법에 의한 미생물 오염도
토마토 추출물의 미생물 증식
요 약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의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의 위해 미생물 오염도 정도를 파악하고 유통과정 중 외부 손상으로 인해 과즙 유출시 미생물의 증식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의 성장을 토마토 추출물 함량(0.1, 1.0, 10%) 및 다양한 배양온도(5, 15, 25, 35oC)에서 측정하였다. 수확단계에서는 APC 작업 종사자의 장갑에서 총 호기성 세균이 7.77 log로 가장 높게 나타 났고, 배양 양액에서 대장균군과 B. cereus가 각각 0.33log 검출되었다. 수확 후 처리과정으로 APC 과정을 거친 토마토에서 총 호기성 세균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S. aureus,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재배방법에 따른 일반, 유기농, 무기농 토마토에서의 미생물 분포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포장 방법 중 봉지 포장제품이 박스 포장제품에 비해 대장균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척에 의한 미생물 저감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토마토 추출물 함량이 높을수록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의 성장이 높게 나타 났으며, 토마토 추출물 10%인 경우 5oC 조건에서 가장 낮았고, 15, 25, 35oC에서 72시간 배양시 각각 7.33~8.51, 7.73~8.60 log CFU/g으로 증식하였다.영어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tomato in cultivation and distribution stage.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s examined in tomato extracts (0.1, 1.0, and 10.0%) and incubation temperatures (5, 15, 25, and 35℃). In cultivation stage of tomato, total aerobic bacteria were 7.77 log CFU/g in gloves of 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worker and Bacillus cereus were 0.33 log CFU/g at nutrient tank, respectively. And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After APC stage, total aerobic bacteria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before-APC stage. Among of general, pesticide- free and organic produce in tomato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icrobial contamination. Coliforms of tomato in small vinyl pack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compared to tomato in whole boxes pack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cteria count between unwashed tomato and washed tomato using tap water for one minute. The growth of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s in tomato extract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and the microbial population was reached the lowest point during storage in 10% tomato extracts concentration for 72h at 5oC. However, the population of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s were gradually increased at 7.33~8.51 and 7.73~8.60 log CFU/ml during storage at 15~35℃ for 72h, respectively.참고 자료
없음"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의 다른 논문
- PSL, TL, ESR 및 GC/MS 분석을 통한 감마선 조사된 유지종실류의 검지 특성 연구8페이지
- 식품 중 사용금지 원료인 Aphanizomenon flos-aquae 검출법 개발 및 응용6페이지
- 전분의 주원료 판별을 위한 유전자 분석법 개발 및 적용7페이지
- 파프리카에서 병원성 대장균의 성장예측 모델 개발 및 검증6페이지
- 곡류 및 그 가공품 중 아플라톡신과 데옥시니발레놀의 안전성 평가10페이지
- 랫드에서의 t-BHP 유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기능성 들깻잎 열수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6페이지
- 제 2형 당뇨모델 OLETF 랫드에서 동충하초의 항당뇨 효과6페이지
- 보육시설 유아 사용 수건의 미생물 분포 및 독소 특성8페이지
- PCR을 이용한 식품 중 알레르기 유발물질 검출법 개발6페이지
- 최근 3년(2008-2010)간 식품안전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운영 현황 분석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