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릉건축을 통해 본 박자청(朴子靑)의 김사행(金師幸)건축 계승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ㆍ수록지정보 : 건축역사연구 / 27권 / 2호
ㆍ저자명 : 김버들, 조정식
ㆍ저자명 : 김버들, 조정식
목차
Abstract1. 서 론
2. 문헌기록을 통해 본 려말선초 문묘건축
2-1. 조선 태조대 김사행의 문묘
2-2. 태종대 박자청의 문묘
3. 김사행의 왕릉공역
3-1. 정·현릉 이전의 고려왕릉
3-2. 정현릉과 영전(고려 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
3-3. 정릉과 흥천사
4. 박자청의 왕릉건축
4-1. 제릉(齊陵)과 연경사(衍慶寺)
4-2. 건원릉(健元陵)과 개경사(開慶寺)
4-3. 후릉(厚陵)과 흥교사(興敎寺)
4-4. 헌릉(獻陵)
5. 박자청이 계승한 김사행의 왕릉건축
6. 결론
참고문헌
영어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two architectures ‘Kim Sa-haeng’ and ‘Park Ja-cheong.’ They were the architects whose architecture were established and well known however they were not acknowledged by the people. Because they were not revealed under the large-scale national construction in complicated circumstances at home and abroa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Kim Sa-haeng who was an overseas architect in Yuan dynasty stood out in all areas of architecture. Particularly in making royal tombs; His works were recognized as the most beautiful royal tombs ever existed and was later on followed by the Joseon dynasty. Second, Park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Joseon's by faithfully reflecting on the discussed process of Neo-Confucian while coming after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Kim Sa-haeng. Third, although Kim Sa-haeng was a vassal of the Buddhist nation in Goryeo, he built the Moon-myo, a Confucian inspired temple of Joseon. Park Ja-cheong, who continued to build Kim Sa-haeng's architecture, reproduced Kim Sa-haeng's confucian's temple of Joseon dynasty while modifying it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Joseon dynasty. The constructions of the two architects' monuments continues unabatedly. Their architecture has continued without massive changes.참고 자료
없음"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
- 건축가 김정희와 평양시 복구 총 계획도: 신화와 역사14페이지
- 조선후기 궁중의례에 사용된 보계(補階)의 유형과 세부 구조에 관한 연구12페이지
- 한말 충청수영 객사·동헌의 위치와 존치상태 연구12페이지
- 근대적 궐내 외교관 의례의 성립과 1899〜1902년 경운궁 휴게소의 건립10페이지
- 미얀마 불탑의 기원과 형식 유래에 대한 고찰16페이지
- 수도 서울에서 정부종합청사의 입지와 건립12페이지
- 조선전기 맞배직교형 건축의 유형과 전파12페이지
- 일제강점기 지적공부(地籍公簿)의 작성과 의미10페이지
- 계와 동으로 본 서린방의 공간과 사회12페이지
- 중국 영파 보국사(保國寺) 대전의 7포작 양초양앙(兩抄兩昻) 공포의 외출목거리에 대한 연구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