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적 궐내 외교관 의례의 성립과 1899〜1902년 경운궁 휴게소의 건립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ㆍ수록지정보 : 건축역사연구 / 27권 / 2호
ㆍ저자명 : 장필구
ㆍ저자명 : 장필구
목차
Abstract1. 서 론
2. 대한제국의 근대적 빈례 성립과 휴게소의 조성
2-1. 대한제국의 궐내 빈례와 휴게소의 활용
2-2. 대한제국『주본』속 경운궁 휴게소 건립과정
3. 대한제국 외교관 의례의 섭행과 경운궁 휴게소의 역할
3-1. 『예식장정』이 규정한 휴게소 공간
3-2. 경운궁 휴게소의 위치
4. 경운궁 휴게소의 3단계 공사와 새로운 건축시스템
4-1. 1단계 공사: 대형 전각과 욕장(褥匠)의 참여
4-2. 2단계 공사: 서양식 복도 공간과 청국 기술자
4-3. 3단계 공사: 각종 마감 재료와 기술자
5. 맺음말
참고문헌
영어 초록
Foreign Reception Hall in Gyeongungung Palace was constructed during 1899-1902 according to Yesigjangjeong (禮式章程), Korean Empire's modern diplomatic protocol. This bulilding is a case worthy of notice, because its construction process was written in Jubon(奏本), Korean Empire's official document. Yesigjangjeong(禮式章程) regulates the process of diplomat's audience with Emperor Gojong. The process suggested that Foreign Reception Hall was designed as the place of the end as well as the beginning for audience. According to the process, diplomat came through main gate, Daehanmun and outer gate of main hall(Junghwajeon Hall, Audience Hall), then arrived at the stair to Foreign Reception Hall. After waiting time in the hall, he was going to be granted an audience with Emperor. And he exited through Foreign Reception Hall as the reverse way. This hall was constructed as western-style. Subcontracted carpenters and wood sculptors and laborers from China represents that chinese workers were prevailed in the government construction at that time. And modern building materials, such as glass, colored brick, sanitary wares and lightings were applied, which showed the new landscape in the middle of Gyeongungung Palace. Above all, official documents related with this hall reveals Korean Empire supervised this construction for diplomatic protocol. That is the identity of western-style buildings in Gyeongungung Palace.참고 자료
없음태그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
- 건축가 김정희와 평양시 복구 총 계획도: 신화와 역사14페이지
- 왕릉건축을 통해 본 박자청(朴子靑)의 김사행(金師幸)건축 계승12페이지
- 조선후기 궁중의례에 사용된 보계(補階)의 유형과 세부 구조에 관한 연구12페이지
- 한말 충청수영 객사·동헌의 위치와 존치상태 연구12페이지
- 미얀마 불탑의 기원과 형식 유래에 대한 고찰16페이지
- 수도 서울에서 정부종합청사의 입지와 건립12페이지
- 조선전기 맞배직교형 건축의 유형과 전파12페이지
- 일제강점기 지적공부(地籍公簿)의 작성과 의미10페이지
- 계와 동으로 본 서린방의 공간과 사회12페이지
- 중국 영파 보국사(保國寺) 대전의 7포작 양초양앙(兩抄兩昻) 공포의 외출목거리에 대한 연구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