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 )의 온도별 발육 및 교미비행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5
최종 저작일
2018.06
1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2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응용곤충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57권 / 2호
저자명 : 조민규, 권혜리, 유용만, 윤영남

목차

ABSTRACT
초 록
재료 및 방법
실험 곤충 사육
온도별 생충률 및 발육기간
온도별 산란 및 부화율
수컷 성충의 교미 비행
광주기가 교미비행에 미치는 영향
풍속이 교미비행에 미치는 영향
높이별 교미비행 선호도
교미비행 가능 거리
결 과
온도별 생충률 및 발육기간
온도별 산란 및 부화율
수컷 성충의 교미비행 시간
광주기가 교미비행에 미치는 영향
풍속이 교미비행에 미치는 영향
높이별 교미비행 선호도
교미비행 가능 거리
고 찰
Literature Cited

한국어 초록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는 전 세계적으로 배를 포함한 과수와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가루깍지 벌레를 방제하기 위하여 가루깍지벌레 수컷의 온도별 발육과 교미비행 및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방제에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루깍지벌레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15℃에서 알이 산란 및 부화되지 않았고, 25℃까지 발육기간이 짧아지다가 30℃에서 다시 늘어났다. 산란수는 25℃에서 평균 482개로 나타났으며, 성비는 15℃, 20℃, 25℃에서 50%에 육박하였지만 30℃에서 수컷의 성비가 37%였다. 비행패턴은 오전에 비행이 많았고 그 중에서도 해가 뜨고 난 직후 2시간 이내에 가장 많았다. 광주기가 달라지더라도 해가 뜨고 난 후 4시간 사이에 비행하 는 개체가 많았다. 암조건만에서 암수를 사육하는 경우에도 비행이 일어났다. 상승 바람의 풍속에 따른 가루깍지벌레 수컷의 비행을 조사한 결과, 0.5 m거리 일 경우 1.5 mph 이상에서는 비행을 하지 못하였다. 배원에서 수컷의 비행은 2 m 이상에서는 채집되는 개체가 거의 없었고 1.5 m에서 가장 많은 수가 포획되어 트랩을 설치하는 높이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수컷 방사지점과 트랩 사이의 비행가능 거리를 보면, 0.5 m, 1 m, 5 m까지는 트랩에 잡히는 수가 많았고 10 m, 15 m, 20 m에서 적었다. 다만, 50 m까지도 채집되는 것으로 보아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50 m 이상 떨어져 있는 수컷도 유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 초록

The comstock mealybug is one of the serious insect pest in pear. It is necessary effective control methods such as attractive sex pheromone. Using sex pheromones is necessary for studying the physiology and ecology of insect pests. In the present study, the sex pheromone of comstock mealybug was used for investigating the flying acts of the adult male. As temperature increased, the development period of eggs shortened, but it was longer at 30℃. The mean number of eggs laid was 482 at 25℃ and males constituted 37% of the experimental population at 30℃. The flight of the male comstock mealybug was mostly restricted to a 2-4 hour period after sunrise, even if condition of light period is changed. Male mealybugs were incapable of upwind flight towards an attractant when air velocity was 1.5 mph. Preference of height was tested in a pear orchard. The ineffective heights of the traps were 2 and 2.5 m, whereas the effective heights were 1 and 1.5 m. Many captured males at 0.5, 1, and 5 m, and the number of captured males were similar in 10, 15, and 20 m. Male mealybugs were captured up to a distance of 50 m, suggesting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ale mealybugs that are more than 50 m away when sex pheromone traps are use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 )의 온도별 발육 및 교미비행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