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막만해역 패류의 세균학적·독물학적 안전성 평가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32권 / 6호
ㆍ저자명 : 하광수, 신순범, 이가정, 정상현, 오은경, 이희정, 김동욱, 김연계
ㆍ저자명 : 하광수, 신순범, 이가정, 정상현, 오은경, 이희정, 김동욱, 김연계
목차
Materials and Methods조사지점 및 기간 선정
위생지표세균 분석
마비성패류독소 분석
설사성패류독소 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세균학적 안전성평가
수확시기에 따른 위생학적 성상
강우가 패류의 세균학적 수질에 미치는 영향
독물학적 안전성 평가
Acknowledgemen
국문요약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전남 가막만해역에서 생산되는 패류에 대하여 위생지표세균, 마비성 및 설사성 패류독소를 분석하여 세균학적, 독물학적 안전성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총 194점의 굴 시료에서 분변계대장균과 대장균을 분석한 결과 모두 230 MPN/100 g을 초과하지 않았다. 굴 수확시기 동안 분석한 분변계대장균의 기하학적 평균치는 19.6 MPN/100 g으로 비수확시기(26.5 MPN/ 100 g)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막만해역의 독물학적 평가를 위해 굴 77개 시료와 패류독소 지표종인 지중해담치 350개 시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비 성패류독소는 4월말부터 6월초 사이에 지중해담치 13개 시료에서 40~46 μg/100 g 범위로 매우 낮게 검출되었으며, 굴 시료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설사성패류독소는 총 180개 시료 중 2개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나,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막만해역에서 생산되는 패류의 세균학적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식품위생법의 패류 위생기준에 적합하였고, EU의 패류생산해역 A등급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마비성 및 설사성패류독소는 기준치보다 매우 낮은 수준으로 검 출되어 독물학적 안전성이 확보된 패류생산해역으로 평가 되었다.영어 초록
To evaluate bacteriological and toxicological safety, the hygienic indicator bacterium and paralytic and diarrhetic shellfish toxins in the shellfish produced in the Kamakman Area from 2012 to 2016 were investigated. Fecal coliforms and E. coli of all 194 oyster samples tested did not exceed 230 MPN/100 g. The geometric mean of the fecal coliform analyzed with the oyster samples of harvesting period was 19.6 MPN/100 g, which was more stable than the non-harvesting period (26.5 MPN/100 g). For the toxicological evaluation of the Kamakman Area, 77 oyster samples and 350 mussel samples as an indicator were analyzed. Paralytic shellfish toxins were detected very low in the range of 40~46 μg/100 g in 13 mussel samples during late April and early June, but not in oyster samples. Diarrhetic shellfish toxin was detected in 2 of 180 samples, but it was found to be below the regulation value (0.16 mg OA equ./kg). Based on the bacteriological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shellfish produced in Kamakman area meets the standard of shellfish hygiene of the Food Sanitation Act and meets the Grade A of the shellfish production area of EU. As the results of the paralytic and diarrhetic shellfish toxin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Kamakman Area is also toxicologically safe for shellfish production.참고 자료
없음"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의 다른 논문
- 강일옥 옥수수의 영양성분, 카로티노이드 함량분석 및 생리활성 평가8페이지
-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이산화염소의 살균소독력 평가 및 살균예측모델 개발6페이지
- 재배농법에 따른 국내산 배추의 위해미생물 및 중금속 오염평가7페이지
- 기능성 쌀의 잔류농약 및 이산화황 안전성 실태조사7페이지
- 국내 유통 건조 농산물 중 고구마 말랭이의 이산화황, 카로티노이드 함량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오염 정..8페이지
- 신선한 딸기의 생산 및 유통 단계에서의 미생물 모니터링 및 미생물 오염 방지 또는 저감화 방법 모색8페이지
- 곡류 등 다소비 식품 중 곰팡이독소 안전성 조사 연구7페이지
-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y in a Single Servi..10페이지
- Molecular Epidemiology of Norovirus in Asymptomatic Foo..5페이지
- Detection of Food-Grade Hydrogen Peroxide by HRP-Biocom..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