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부추 생산농가의 소규모 수확후 처리시설 적용과 위생교육에 따른 미생물학적 안전성 향상 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30권 / 3호
ㆍ저자명 : 김세리, 김진배, 이효섭, 이은선, 김원일, 류송희, 하지형, 김황용, 류재기
ㆍ저자명 : 김세리, 김진배, 이효섭, 이은선, 김원일, 류송희, 하지형, 김황용, 류재기
목차
Materials and Methods소규모 수확후 처리시설 모델 개발 및 적용
시료 채취
위생지표세균의 측정
병원성 미생물 분리·동정
통계 처리
Results and Discussion
영양부추의 수확 후 처리시설 설치에 따른 미생물 오염도 비교
영양부추 재배단계의 미생물 분포
Acknowledgement
국문요약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위생적인 수확후처리를 통하여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유도하기 위하여 영양부추를 대상으로 수확후 처리시설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수확후 처리시설 설치와 위생교육이 미생물 안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양주지역 영양부추 생산 농가의 수확 후 처리시설 환경과 영양부추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 E. coli)과 병원성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빗, 칼, 도마 등 수확후 처리시설에서 사용하는 작업도구의 일반세균수 오염수준은 수확후 처리시설 설치농가(A, B)에서 수확후 처리시설 비설치농가(C) 보다 1.44~2.33 log CFU / 100cm² 정도 낮았다. 특히 도마의 경우 A농가에서 1.00 log CFU / 100cm²이하, B 농가에서 2.23 logCFU / 100cm²인데 반해 C 농가에서는 6.03 log CFU / 100cm²로 농가간의 위생 상태에 따라 B. cereus의 오염수준이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지하수에 침지 한 영양부추에서 침지 전 보다 대장균군이 0.57~1.89 log CFU/g이 증가하였다. E. coli는 영양부추, 침지한 후 지하수, 토양에서 검출되었으며,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소규모 수확 후 처리시설 설치와 위생교육을 통하여 농가 내 수확후처리 환경의 위생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유해미생물에 의한 식중독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확 후에 오염된 유해미생물을 저감화 할 수 있는 세척, 소독 기술의 개발과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영어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mall scale post-harvest facility, and consequently to evaluate the effects of applying the facility along with hygiene education on the level of microbial safety in Korean leeks production. A total of 135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Korean leeks farms in Yangju, Gyeonggi province. Food safety indicators (Aerobic plate count (APC), coliform count, and Escherichia coli) and foodborne pathogen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Bacillus cereus) on/in the samples were assessed. The microbial load measured as APC with harvesting tools such as comb, chopping board, and knife, at the farms where the small scale post-harvest facility had been operated (Farms A and B) was lower than that at another farm having no post-harvest facility (Farm C) by 1.44~2.33 log CFU / 100 cm². Moreover, the chopping board from Farm C was observed being contaminated with B. cereus at 6.03 log CFU / 100 cm². The coliform counts from the samples increased by 0.57~1.89 log CFU/g after leeks was submerged in ground water for washing. E. coli was recovered from leeks, soil, and the ground water used in the washing process, while no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 monocytogenes was detect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small scale post-harvest facility developed in this study as well as the hygiene educ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level of microbial food safety in the leeks production environment. However, a disinfection technique could be needed during the washing step in order to prevent a potential contamination.참고 자료
없음"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의 다른 논문
-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배양법7페이지
- 유전자 마커를 이용한 하수오, 백수오 및 이엽우피소 종 판별법 개발6페이지
- 새우에서 분리된 Vibrio species 동정을 위한 VITEK 2 system방법과 specie..8페이지
- LC-MS/MS를 이용한 축산물 중 Phorate 및 대사산물 5종 동시분석법 개발9페이지
- 축산물 중 천연유래 질산염 및 아질산염 함유량 조사7페이지
- 윈터체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개선 효과7페이지
- 보육시설 유아 사용 칫솔의 식중독 미생물 분포 및 독소 유전자7페이지
- 서울시 유통 원두커피의 품질 특성6페이지
- 우리나라 식품안전보건지표를 활용한 사례연구: 다양한 통합지수 산출을 통한 주요 지표 확인 및 사회경..9페이지
- 우리나라 식품안전보건지표의 개발 및 운용과정 정립에 대한 연구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