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자의 물 추출조건에 따른 s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함량 비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30권 / 1호
ㆍ저자명 : 김희순, 문현경, 이영주, 이춘영, 황광호, 김욱희, 유인실, 정권
ㆍ저자명 : 김희순, 문현경, 이영주, 이춘영, 황광호, 김욱희, 유인실, 정권
목차
ABSTRACT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기기 및 분석조건
표준용액의 조제
시험용액의 조제
회수율, 재현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실험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요 약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식약공용 오미자를 메탄올 추출해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함량을 확인한 후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함량이 높게 나온 시료 중 하나를 선정해 오미자를 차로 음용 시 물 추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추출방법은 열수 추출과 상온 침출로 추출상태, 추출온도, 추출시간을 달리하여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함량을 비교하여 적절한 음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미자를 원산지별 메탄올 추출물 시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총 합 평균 함량은 10.57mg/g이었다. 국산 오미자 11.42 mg/g, 수입산 오미자 10.12mg/g으로 국산 오미자의 메탄올 추출물의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총 합 함량이 더 높았다(p < 0.05). 메탄올 추출에서 높게 나온 오미자를 이용해 물 추출 방법에 따라 추출방법, 추출형태, 추출온도, 추출시간을 달리해 생리활성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오미자 물 추출방법에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조건은 추출형태였다. 원형보다 분말형태로 오미자를 물 추출 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이 높게 나왔다(p < 0.05).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총 합 함량이 높게 나온 추출방법은 오미자를 분말형태로 26oC 에서 24시간 침출하거나 100oC 에서 5분 이상 열수 추출했을 때 유의적 차이가 없이 높게 나왔으나(p > 0.05) 오미자를 고온 열수 추출 시 떫은맛과 신맛이 강해지므로 따라서 오미자의 물 추출의 경우 분말상태로 24시간 이상 침출하는 것이 오미자의 생리활성 물질인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을 좀 더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기호적인 면도 고려할 수 있는 음용법 이었다. 차를 마시는 기능성을 고려하여 향후 오미자뿐 아니라 가정에서 차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약용식물의 생리활성 물질에 특성에 따른 물 추출물에 대한 효율적인 추출법등의 연구 가 이루어져 할 것이다.영어 초록
This study compared the content change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according to the extraction condition when we generally drink the extractive of Schisandra fruit with using water.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of the Schisandra fruit, schizandrin, gomisin A and gomisin N were analysed with HPLC. The results of extracting 1 dose of the Schisandra fruit tea, which is some as 1 g of Schisandra fruit, in 100 mL of water by differing the extraction typ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time were of the followings. The total content of schizandrin, gomisin A and gomisin N of powder type in 26oC leaching was the highest (p < 0.05) as the leaching content of 24 hours (5.54 mg/g) showed difference with different times and the contents of raw type Schisandra fruit were less than 0.1 mg/g in all of extraction time. The contents of powder type Schisandra fruit in 60oC heating extraction was over 4.50 mg/g except for the 5 minute (2.94 mg/g), and the contents of raw Schisandra fruit were less than 0.3 mg/g. In case of 100oC heating extraction, the contents of powder type Schisandra fruit showed over 5.10 mg/g in every time zone, and the raw type Schisandra fruit was less than 1.0 mg/g.참고 자료
없음"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의 다른 논문
- MSG의 반복투여가 어린랫드의 인지능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6페이지
- Dextrin과 β-cyclodextrin이 생체 내에서 헛개나무 추출물의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5페이지
- Bactericidal Efficacy of a Disinfectant Composed of Pov..6페이지
- 실시간 정량 PCR을 통한 김치 유래 Weissella spp.에 의한 Listeria monocy..6페이지
- 식중독 세균에 대한 Oleanolic Acid의 항균활성5페이지
- 저선량 감마선 반복조사의 육류와 생선 중 미생물 저감효과6페이지
- 오미자차와 오미자 물추출액의 무기질 함량 및 추출조건에 따른 이행률5페이지
- 폴리아마이드제 등 조리기구 중 모노머의 이행에 관한 연구6페이지
- 살균소독수로 세척한 후 냉풍건조한 꽁치과메기의 품질특성7페이지
- Bacillus cereus가 선택적으로 제거된 볏짚유래 스타터를 이용한 청국장의 제조 및 품질특성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