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첨가물 바르게 알기 연수를 통한 교사들의 인식 전환과 학생들의 인식 개선 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32권 / 2호
ㆍ저자명 : 김정원
ㆍ저자명 : 김정원
목차
Materials and Method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직무연수의 시행 및 평가
연수 후 학생대상 전달교육 및 효과 평가
자료 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직무연수의 시행과 평가
학생 대상 전달교육의 효과
Acknowledgement
국문요약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대다수의 초중등학교 교사들이 식품첨가물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직무연수 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그 연수를 받은 교사가 다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전달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직무연수 프로그램은, 식품안전과 식품첨가물에 대한 이해, 식품첨가물 교육 매체 소개,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식약처 전문가와의 만남, 지역 식약청 실험실 탐방, 학생 대상 수업 적용과 확산, 연수 평가로 구성된 총 15시간으로 구성하였고, 2016년 8 월 S교대 교육연수원을 통해 2차례에 걸쳐 총 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4.2~4.5(5점 척도)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91.5%가 학교 수업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본래 직무연수 신청의도와 달리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전환의 기회가 되었고 지속적인 연수의 개설과 함께 초중등 교과서에 발견되는 식품첨가물에 대한 부정적 정보의 수정을 요구하였다. 또한 직무연수 후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n = 1,172) 을 대상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을 때, 초 중등 학생들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낮은 이해와 부정적 인 식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 < 0.001). 본 연구결과는, 식품첨가물에 대한 편향된 정보가 교사를 통해 학생들에게 전달되고 있는 문제점의 개선과 함께, 교사 대상 연수가 식품첨가물 외에도 식품위해정보전달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채널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영어 초록
Based on the previous reports that majority of teachers have negative perceptions on food additives, a teacher training program called ‘Let’s teach food additives correctly’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teachers’ unbalanced perception on food additives and let them teach students with sound scientific background. The 15-hours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understanding of food safety and food additives, education materials on food additives,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 meeting with professionals from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visiting MFDS labs, application to school class, and evaluation. A total of 63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through 2 sessions conducted in August 2016. As a result, teachers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s (4.2~4.5 in 5.0-Likert scale) and 91.5% answered the training helpful for the school class. Although their initial intention to participate the training was to know the details of negative intake effects of food additives, their such perception was totally changed in addition, they suggested a continuous training for teachers and immediate correction of incorrect information in school textbooks. Also, post-training education for 1,172 students by these teachers appear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and the native perceptions on food additives significantly (p < 0.001).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training program could solve the problem of transmitting unbalanced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to students by training teachers, and such channel could be used to facilitate food-related risk communication.참고 자료
없음"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의 다른 논문
-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대한 매실 추출물의 항균활성7페이지
- 영양부추에서 이산화염소와 차아염소산나트륨 처리의 식중독세균 저감화 효과9페이지
- 농업환경에 서식하는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의 병원성 유전자 및 항생제 내성 조사7페이지
-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카벤다짐 분석6페이지
- 서울시내 시판 식육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의 항생제 내성 유형, 다중약물..6페이지
- 국내 유통중인 생닭 및 닭가공품에서 병원성 대장균의 분리 및 특성6페이지
- 계절별 다소비식품 중 무기영양원소 함량 평가6페이지
- 즉석 식품에서 니트로사민이 검출되는 요인 분석9페이지
- 전북권내 냉장·냉동식품 유통차량 온도관리 현황7페이지
- 식중독 사고 발생과 식품 안전 관련 검색어 빈도와의 상관성 분석 연구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