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환경생물학회
ㆍ수록지정보 : 환경생물 / 36권 / 1호
ㆍ저자명 : 김정은, 이황구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연구대상 지역
2. 연구내용 및 방법
결과 및 고 찰
1. 이입종 현황
2. FISK 결과
3. 서식지 건강도 평가와 이입종 출현 특성
4. 어류군집, QHEI, 하천 인근 토지이용, 이입종간의 상관관계
5. 이입종 관리 방안
적 요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선행된 연구자료의 어류군집을 이용하여 강릉남대천 내 이입종의 현황을 파악하고,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침습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강릉남대천에 서식하고 있는 국내 타수계 이입종은 12종으로 조사되었으며, 1982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입종의 FISK 평가 결과 피라미 (Zacco platypus)와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가 높은 침습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SK 질문의 답변에 대한 신뢰도 값은 평균 3.2 (3.06±0.16~3.42±0.13)로 분석되었으며, 최대 신뢰도 값이 4인 것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점별 물리적 서식지 평가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결과 평균 146 (88~171)으로 최적의 서식처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점별 하천 인근 토지이용률과 QHEI, 이입종 출현빈도를 구분한 결과 하천의 고도가 낮아질수록 QHEI 값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토지이용 측면에서는 산림지역이 감소하고, 도심지역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어류군집, QHEI, 하천 인근 토지이용률, 이입종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천 상·하류간의 연속성을 나타내는 고도와 지점별 종수 (r= -0.782, p=0.0127), 종수와 산림지역 (r= - 0.737, p=0.0234), QHEI와 도심지역 (r= - 0.292, p=0.446)과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타수계 이입종의 경우 도심지역과는 양의 상관성 (r=0.313, p=0.412)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nslocated species using a precede study and a model to evaluate the potential invasiveness that could adversely affect the aquatic ecosystem in the Gangneungnamdae Stream. A total of 12 translocated species were investigated and identified from 9 sites in a precede study, and steadily increased since 1982. For the study, which utilized research based on the total FISK (Fish Invasivenss Screening Kit) scores, all of the non-native fishes in Gangneungnamdae Stream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namely as a high and a medium risk of becoming invasive.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ere two species (Zacco platypus and Pseudorasbora parva) that were determined to have posed the highest risk. The study determined that the mean scores were shown to have ranged from 3.06 (±0.16)-3.42 (±0.13). Consequently, the habitat analysis showed that the determined QHEI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values in the stream averaged 146 (88-171), indicating that an optimal habitat condition did exist in that locale. It can be inferred that compared to land use in the surrounding watersheds, the QHEI values and frequency of translocated species showed the lower the altitude of stream, the QHEI values were decreased and in case of land use pattern, a noted decreased forest and grassland area, and gradually increased urbanized area was seen to exist in the reg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sh assemblage, QHEI, land use pattern of surrounding watershed and number of translocated species was identified and analyzed when the stream altitude decreased, and the number of species was increased (r= - 0.782, p=0.0127), the number of species was decreased (r= - 0.737, p=0.0234), and finally when the QHEI values were decreased, it was noted that the urbanized area was increased (r=0.292, p=0.446). In the case of the number of translocated species, when the number of translocated species was increased, the associated urbanized area was increased.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