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큐레이션 플랫폼을 이용한 정보 제공이 현대미술 감상에 미치는 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감성과학회
ㆍ수록지정보 : 감성과학 / 20권 / 3호
ㆍ저자명 : 이현주, 한광희
ㆍ저자명 : 이현주, 한광희
목차
1. 서론1.1. 심리학의 관점에서 미학 경험이란
1.2. 일반 대중은 왜 감상을 어려워하는가
1.3. 근대미술에서의 미학 경험
1.4. 더 풍부한 미학 경험을 돕는 요소들
1.5. 새로운 감상 환경: 온라인 큐레이션
2. 실험 1
2.1. 방법
2.2. 결과
2.3. 논의
3. 실험 2
3.1. 방법
3.2. 결과
3.3. 논의
4. 종합논의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큐레이션 플랫폼을 이용한 외현적 정보의 제공이 현대미술에 대한 일반대중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현대미술은 일반대중이 접근하기 난해한 장르로 여겨져 왔다. 한편, 미술 감상에 대한 연구들은 외현적인 정보의 제공이 미학적 감상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품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현대미술을 감상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감상 경험을 심리학적으로 분석한 Leder et al.(2004)의 이론적 모델에 기초하여 외현적 정보가 어떠한 인지적 처리과정을 도와주는지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최근의 전시 트렌드를 반영하여 온라인 플랫폼 환경을 적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작품과 설명문이 제공되었고 작품에 대한 이해도, 관람의향을 보고하였다. 실험 결과, 해설이 제시된 조건에서 작품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았다. 또한, 긴 해설이 제시된 조건에서 해설 이해도와 관람의향을 작품이해도가 완전매개하는 매개모형이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ARS 설문을 추가하고 온라인 큐레이션의 능동적인 조작 환경을 재현했다. 실험결과, 해설이 제공된 조건들에서 관람의향, 작품이해도가 더 높았다. 예술사적 의미, 자아성찰, 창의성 등 Leder et al.(2004) 모델의 후기 단계에 해당하는 지표들 역시 해설조건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온라인 큐레이션 환경에서의 정보전달이 일반대중의 현대미술 작품에 대한 인지적 처리와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영어 초록
Current research aimed to demonstrate a way to enhance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general public while appreciating contemporary art via online platform. Contemporary art is highly complicated and are avoided by the general public. Meanwhile, previous research confirmed that external information can lead to better a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of the artwork. Therefore, current research hypothesized that provision of explicit information may enhance the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works and aimed to demonstrate which phase of the cognitive process from Leder et al. (2004) profits from the aid of written information. Experimental environment reproduced online curating platform to reflect the current trend on exhibition. In experiment 1, subjects were presented with written information and reported how well they understood the artwork, and their willingness to visit the artwork in real life. Results revealed that written inform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appreciation. Further analysis discovered a full mediation between information comprehension, artwork comprehension, and willingness to visit. In experiment 2, ARS questions and an interactive interface were added. Results indicated that information enhanced comprehension and intention to visit the artwork. Expertise, self-reference, and artistic quality which belong to later stages of Leder et al. (2004) model, acquired higher scores on information conditions. In sum, the current research illustrated clear effects of explicit information in inducing better aesthetic experience and cognitive process of contemporary artworks in online environment.참고 자료
없음"감성과학"의 다른 논문
- 분노유발에 따른 특성불안자의 자율신경계 반응 특성12페이지
- 직물 센서의 모양과 부착 위치가 사지 동작 센싱 의류의 센싱 성능에 미치는 영향10페이지
- 기프티콘 증여상황에서의 역할과 상호간 친밀도에 따른 선물 만족도10페이지
- 증강현실을 활용한 홈 트레이닝에서 가상 참여자의 영향: 몰입, 인지된 경쟁, 그리고 정보 습득의 욕..12페이지
- 반응양식이 P300 숨긴정보검사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10페이지
- 퍼스널 트레이닝 효과 향상을 위한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상품기획 및 디자인 방향 연구12페이지
- 실시간 Social Distance 추적에 의한 감성 상호작용 인식 기술 개발8페이지
- 행복감정과 슬픔감정 간의 자기타당화와 규제초점 및 정보왜곡의 차이18페이지
- 심장과 호흡의 연결성을 이용한 감성인식 방법10페이지
- 촉각적 심상화를 위한 다중감각 단서가 지각된 소유감에 미치는 영향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