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S 환자의 Brain MRI에서 Radiofrequency power 제한기준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 평가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ㆍ수록지정보 :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 26권
ㆍ저자명 : 연규진, 장영애, 이승근
ㆍ저자명 : 연규진, 장영애, 이승근
목차
I. 서 론II. 대상 및 방법
III. 결 과
IV. 고 찰
Ⅴ.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목 적 : DBS 제조사에서는 자사의 일부 제품에 대한 RF power의 제한기준을 B1+rms 2.0 μT 이하로 변경하였다. 이에 brain MRI 영상비교를 통해 새로운 가이드 라인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대상 및 방법 : 뇌 질환이 없는 총 5명의 자원자(남자 2명, 여자 3명, 나이 range 19~46세)를 대상으로 T1 SE sagittal, T2 TSE, T1 SE, T2 FLAIR axial로 구성된 Brain MRI routine protocol과 SAR값을 0.1 W/kg 미만으로 조절 된 protocol, B1+rms를 2.0 μT 이하로 조절 된 protocol 등 3개의 protocol을 사용하여 1.5T에서 brain MRI(Siemens avanto, head matrix A Tim coil, Germany)를 시행하였다. 획득된 영상 중 axial영상에서 전두엽 피질(cortex)의 백질(white matter), 회백질(gray matter)과 중심회질(central gray matter)의 조가비핵(putamen), 시상(thalamus)에서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각 부위의 SNR과 백질과 회백질간 CNR을 계산하여 영상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정성적 영상평가는 해부학적 묘사력을 기준으로 routine protocol의 영상과 비교하여 RMS, SAR protocol 각각의 영상에 대해 3단계(I: 열등, E: 동등, S: 우월)로 평가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Medcalc(version 16.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검정하였다.
결 과 : 전두엽 피질의 백질과 회백질간 CNR은 T2, T1 axial에서 routine과 RMS 영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p<0.05), FLAIR axial에서는 routine 영상(10.0±0.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4). 백질과 중심 회질간 CNR은 조가비핵의 경우 T2, T1, FLAIR axial에서 모두 routine과 RMS 영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p<0.05), 시상은 T2 axial에서 3개의 protocol간 차이가 없었으나(p=0.16), FLAIR axial에서는 routine영상(7.9±0.5)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03), T1영상에서는 routine과 RMS 영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09). 정성적 평가에서는 routine영상에 비해 SAR영상은 모든 sequence에서 ‘열등’으로 평가되었으나, RMS영상은 두 명의 FLAIR영상과 한 명의 T2영상에서만 ‘열등’ 판정을 받았고, 나머지는 모두 ‘동등’ 판정을 받았다.
결 론 : RMS protocol 영상은 백질, 회백질간 CNR과 해부학적 구조의 묘사력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SAR 영상보다 모든 sequence에서 우수하였고, routine 영상과는 T2, T1 sequence에서 동등하였다. DBS 환자에 대해 RF power를 B1+rms 2.0 μT 이하로 제한하는 제조사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은 기존의 SAR 기준에 비해 영상의 질향상, scan time 감소, scan parameter 조절 용이성 등 임상적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영어 초록
Purpose : DBS manufacturing company notes that a new standard configuration of DBS is B1+rms≤2.0 μT. To evaluation of clinical usefulness for B1+rms limits, we compared image quality of routine, SAR<0.1 W/kg and B1+rms≤2.0 μT images in brain.Materials and Methods : 5 volunteers (males 2, females 3, age range 19 to 46) without apparent brain disease underwent MRI(Siemens avanto, head matrix A Tim coil, Germany) scanning of the brain using three different protocols. Each protocol was consisted of T1 SE sagittal, T2 TSE, T1 SE and T2 FLAIR axial. One of three protocols, routine is used to diagnosis clinically. The other one is the SAR was adjusted under 0.1 W/kg. The last protocol is adjusted B1+rms below 2.0 μT. We draw ROI in cortex, white matter, gray matter, putamen and thalamus of axial plan. SNR were evaluated in each area and CNR were evaluated between white matter and gray matter. Qqualitative evaluation system (I: inferior, E: equivalent, S: superior) was used to score each ROI.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atistics software MedCalc(version 16.1)
Results : CNR of T2, T1 axial image between white matter and gray matter using routine and RMS adjusted protocol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p<0.05). In FLAIR axial image, routine was the highest(10.0±0.8, p=0.004). CNR of T2, T1 and FLAIR using routine and RMS image between white matter and putamen shpw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2 image using three different protocols in thalamus(p=0.16), but routine was the highest in FLAIR image(7.9±0.5, p=0.003). In T1, routine and RMS adjusted protocol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ces(p=0.009). Radiologist evaluated SAR adjusted images were ‘inferior’and RMS adjusted images were ‘equivalent’except FLAIR image of 2 volunteers and T2 image of 1 volunteer.
Conclusion : CNR of RMS adjusted image was better than SAR adjusted images. CNR of RMS adjusted image in T2 and T1 is equal to routine sequence images. Therefore, new guideline of DBS manufacturing company for B1+rms is confirmed its usefulness compared to conventional SAR standard on the aspect of improvement of image quality, reduction of scan time and easy adjusting parameter.
참고 자료
없음"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의 다른 논문
- 3.0T MR검사에서 Hyper-Turbo spin echo와 Acoustic noise reduc..11페이지
- MRI BRAIN 검사에서 Conventional image와 비교를 통한 MAGIC(Magneti..8페이지
- 경추 MRI검사 시 3D T2 SPACE 영상의 진단적 유용성 평가10페이지
- 간세포암 환자의 확산강조영상검사 시 조영제 주입 전·후 현성확산계수의 변화에 대한 연구10페이지
- 방사선사의 직업적 자기장 노출에 따른 발현 증상과 영향 인자8페이지
- 뇌 확산강조 영상 검사시 자체 제작한 보정물의 사용에 따른 영상개선에 관한 연구10페이지
- 편측 유방 전 절제 환자의 유방 MRI 검사에서 자체 제작한 phantom을 이용한 filling ..8페이지
- Breast Cancer 환자의 breast dynamic 검사 시 ionic contrast 와 ..8페이지
- GRAPPA 기법을 이용한 VIBE Sequence검사에서 GRAPPA factor와 ACS Lin..8페이지
- Multi-steps CE-MRA 검사 시 k-space timing control method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