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소만·근소만 갯벌어장 관리를 위한 퇴적물-해수 경계면에서 영양염 플럭스 추정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해양환경안전학회
ㆍ수록지정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23권 / 7호
ㆍ저자명 : 전승렬, 조윤식, 최윤석, 김경태, 최용현
ㆍ저자명 : 전승렬, 조윤식, 최윤석, 김경태, 최용현
목차
1. 서 론2. 재료 및 방법
2.1 연구지역
2.2 조사방법
2.3 저서 영양염 용출 플럭스
3. 결과 및 고찰
3.1 연구지역의 해수 및 퇴적물 환경
3.2 영양염 플럭스의 수직적 변화
3.3 영양염 플럭스의 계절적 변화
3.4 서해안과 남해안의 영양염 용출 플럭스 데이터 비교
4. 결 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수층으로 용출되는 질소(N)와 인(P)의 영양염 플럭스는 1차 생산성에 대한 총 영양요구량의 상당 부분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 에 퇴적물-해수 환경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곰소만·근소만의 환경 일반항목들과 퇴적물-해수 경계면에서 저서 영양염 용출 플럭스를 분석 및 추정하였다. 또한 이전에 보고된 영양염 플럭스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지역적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근소만 법산에서 봄철 영양염 용출 플럭스가 DIN 6.14 mmol m-2 d-1, DIP 0.32 mmol m-2 d-1로 조사정점 중 가장 높게 나타났 다. 퇴적물 COD의 경우 법산의 사계절 값이 4.0~10.8 mg/g·dry로 나타나 유기물 오염에 의한 환경 악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앞으로 갯벌어 장 관리에 대한 방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양식생물의 생산량 감소의 문제가 발생될 것이다. 따라서 생물자원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 갯벌 환경의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영어 초록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nteractions in the sediment-water environment because nitrate (N) and phosphorus (P) nutrient fluxes released into overlying water can represent a significant fraction of the total nutrient requirement for primary productiv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estimated benthic nutrient fluxes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vestiga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Gomso and Geunso Bays. Also, we compared previously reported nutrient flux data to identify regional differences. As a result, benthic nutrient fluxes in Beopsan were DIN: 6.14 mmol m-2 d-1 and DIP: 0.32 mmol m-2 d-1 higher than other survey sites. Sediment COD were 4.0-10.8 mg/g·dry,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was observed due to organic pollution. If no solution is found for tidal flat farm management,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aquaculture production will follow. Therefore, long-term monitoring of tidal flat environments should be pursued to enable the sustainable use of biological resource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해양환경안전학회지"의 다른 논문
- 수중영상의 색상특성을 고려한 선박하부 영상의 윤곽선 강조 기법7페이지
- 흘수 및 트림 변화를 고려한 선박 유체력 미계수 추정에 관한 연구8페이지
- 다중반사를 고려한 함정의 외부 탑재 장비 최적배치 연구8페이지
- 동해 연근해 수온의 경년변화가 방어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9페이지
- 하계와 추계 동해 남부연안의 매오징어 (Watasenia scintillans) 유생출현양상7페이지
- 춘계 남해 전선역에서 알칼리 인산분해 효소를 통한 제한 영양염의 평가8페이지
- 한국 남해안에서 시계열 분석을 통한 수온 변동 특성9페이지
- LOICZ 모델을 이용한 곰소만, 근소만 갯벌어장 물질수지 산정9페이지
- 조선업 중대재해 분석을 통한 조선업 안전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11페이지
- 도선사수급안정화를 위한 도선사 자격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