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여객선사 안전관리 운영 효율성 분석 : 안전경영지표 평가항목 개발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해양환경안전학회
ㆍ수록지정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25권 / 6호
ㆍ저자명 : 김주환, 최종진, 김화영
ㆍ저자명 : 김주환, 최종진, 김화영
목차
1. 서 론2. 연안 여객운송사업 현황
2.1 연안 여객항로 및 서비스 현황
3. 안전경영지표 평가항목 개발
3.1 안전경영지표 평가항목 선정
3.2 평가결과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연안여객선사의 안전관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적절한 안전경영지표 평가항목을 설계하고 연안여객선 사를 대상으로 평가항목의 유효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연안여객운송사업자의 안전관리책임자, 공무원(선박검사관), 여객 선 운항관리자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을 통해 연안여객선사의 자발적 안전관리 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5개의 평가항목과 14개의 세부 평가요 인을 선정하고 사전검증 및 테스트를 통해 객관성을 제고하였다. 이 안전경영지표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44개 연안여객선사에 대한 자발적 안전 관리 수준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평가항목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안전경영지표 평가항목 결과와 중대해양사고 비율을 비교분석하여 평가 항목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자발적 안전경영 수준이 높은 업체일수록 중대해양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자발적 안전관리에 무관심하거 나 소홀한 업체는 상대적으로 높은 중대해양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안전경영지표 평가항목 선정을 통해 연안여객선사 의 안전관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항목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도출하였다. 따라서 향후 안전관리 효율성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proper evaluation method for analysing the safety management efficiency of coastal ship companies, and to verify these evaluation standards by applying them to a representative company. For this purpose, 5 evaluation items and 14 specific sub-evaluation elements have been determined after collecting practical opinions from a group of expert, which consisted of safety managers in passenger ship companies, public servants as a ship inspector, passenger ship operations managers, etc. Next, the safety management levels of 44 coastal passenger ship companies were evaluated using these standards. Finall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evaluation method wa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ratio of major marine accidents. It was determined that companies with low evaluation levels were saw more major marine accidents than other coastal passenger ship companies, spurring greater interest in safety management. In conclusion, evaluation standards allow coastal passenger ship companies to voluntarily assess their safety management level were established. The result can also be applied to analys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coastal passenger ship companie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해양환경안전학회지"의 다른 논문
- 안개 상태에 따른 선박 자동제어 장치5페이지
- 2016년 8월 폭염에 따른 표층수온의 지연시간 고찰7페이지
- 남해동부연안항만에서 하계 단주기 조사에 따른 해양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의 변화8페이지
- 크루즈선 주요 제원분석을 통한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 개선 연구9페이지
- 혼산에 의한 폭발사고의 화학반응 경로 분석 - 화학물질 운반 선박을 중심으로 -8페이지
- 사용자 요구 기반의 AIS-ASM 표준통신메시지 개발에 관한 연구7페이지
- DP운항사 NCS개발 및 전문인력양성 활성화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11페이지
-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선박 대피항로 선정 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 선박운항자 관점에서 -8페이지
- 위험물질(유류·HNS) 해양사고 인명 및 환경피해 위험도 분석에 관한 연구10페이지
- 정수중 및 파랑중 저수심에서의 초대형 컨테이너선에 작용하는 유체력 특성에 관한 연구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