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가꾸기 사업에 대한 담당공무원들의 인식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ㆍ수록지정보 : 농업생명과학연구 / 51권 / 6호
ㆍ저자명 : 김충열, 김태운, 김의경, 문현식
ㆍ저자명 : 김충열, 김태운, 김의경, 문현식
목차
서론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1 응답자 일반현황
2 숲가꾸기 업무에 대한 인식
3 숲가꾸기 사업의 행정절차에 대한 인식
4 기능별 숲가꾸기 사업의 필요성
5 정책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숲가꾸기 사업 담당공무원의 동 사업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해 향후 정책적 개선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5년 10월 설문조사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2년 이상 담당자의 교육 이수 여 부에서 산림조합 훈련원 교육과 산림청 시책교육 참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숲가꾸기 사업 담당자들은 숲가꾸기 사업의 규모, 업무비중, 만족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응답하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숲가 꾸기 사업 품질향상을 위해 2년 미만 담당자는 관계공무원의 역량 강화와 산림사업 전문가 양성을, 2년 이상 담당자는 시공자의 운선순위가 높았고, 설계․감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산주들에게 숲가꾸 기 사업을 충분히 설명하는지에 대해서는 2년 미만은 12%, 2년 이상은 27%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여 담당 자들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부족한 주된 원인으로는 산주들의 무관심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경력과 관계없이 숲가꾸기 사업 담당자는 산림의 기능별 구분이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기능별 숲가꾸기 사 업이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영어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policy improvement plan of forest tending oper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level of awareness and requirements of public officers on forest tending operation. The public officers with more than 2 years working experience have a higher participation rate in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 forest association training center and policy education of the Korea Forest Service. The proportion of public officers who had negative responses on the scale, work volume, and satisfaction on the forest tending operation was higher than public officers with negative responses. Public officers with less than 2 years working experience were of the opinion that the most important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forest tending operation is to build the capacity of officials and train specialists in the forest domain of work. Public officers with more than 2 years working experience stated that the ranking of the role of constructors was high, and that reinforcement of design and supervision was necessar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officers with less than 2 years and public officers with more than 2 years experience who were of the opinion that the explanation of forest tending operation to the forest owners was insufficient with 12% and 27%, of responses respectively, and they remarked that the most important cause is due to the forest owner's indifference. Regardless of the career, most public officers were of the opinion that the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used for forest tending operation is unnecessary because the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is unrealistic.참고 자료
없음"농업생명과학연구"의 다른 논문
- Effect of DNA Vaccination with Retroviral Vector Expres..11페이지
- 단층촬영법을 이용한 느티나무, 팽나무, 은행나무 노거수의 건강도 측정9페이지
- 한우 암소의 선형 및 외모심사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17페이지
- Physiological Response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11페이지
- Effect of Different Water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12페이지
- 참식나무의 물리·역학적 특성9페이지
- 내건성 식물의 기내증식에 미치는 배양배지와 생장조절제의 영향12페이지
-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docarp in Relation t..8페이지
- The Effects of Spatial and Climatic Factors on Woody Pl..14페이지
- 한우 거세우의 가격에 미치는 도체형질의 기여도 변화추세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