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무용기록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31권
ㆍ저자명 : 장정윤
ㆍ저자명 : 장정윤
목차
국문요약I. 들어가는 말
II. 현대무용과 니체
1. 현대무용과 니체미학의 관계
2. 현대무용에서 니체의 역할
Ⅲ. 마사 그레이엄 무용
1. 마사 그레이엄의 작품세계
2. 마사 그레이엄의 동작원리
Ⅳ. 마사 그레이엄 무용에 미친 니체의 영향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니체철학에서의‘춤’은 철학적 논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서‘해방’,‘자유’,‘영원성’, ‘디오니소스적인 것’등의 추상적 관념을 상징한다. 니체에 있어서 무용수의 몸과 춤은 현실적인 것, 경험적인 것으로서 주요한 연구대상일 뿐만 아니라 니체사상의 주요한 주제이다. 본 연구는 니체철학의 영향을 받은 현대무용의 안무자들 가운데 마사 그레이엄(Martha Graham, 1894-1991) 의 무용을 고찰하고, 그레이엄의 무용세계에 미친 니체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니체의 철학과 사유를 통해 마사 그레이엄의 무용에 접근하는데 있어서, 첫째는 니체의 미학사상을 토 대로 현대무용의 미학과 발전을 알아본다. 둘째는 그레이엄 무용의 근원적 가치와 의미를 동작 원리와 작품세계를 통해 고찰한다. 셋째는 마사 그레이엄 무용미학에 미친 니체의 영향을 밝힌 다. 이 연구는 니체를 통해 창조적 자기표현과 자기완성의 과정으로서의 그레이엄의 춤을 사유 하도록 한다. 삶과 창조 그리고 숭고의 니체미학이 자연성, 자유, 몸을 근간으로 마사 그레이엄 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신화 등의 소재를 재해석하는 창작활동에 의해 그 레이엄은 자신의 세계관과 가치관을 표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아갔다. 또 한 삶과 예술을 몸의 살아있는 경험으로 미학화 한다. 즉 언어로서 끌어 올리는 데에는 한계를 지닌 감각적인 근본적 세계를 그레이엄은 동작언어로서 재현해내고 창조한다. 그레이엄은 무용 을 통해 디오니소스적 이념 자체의 내용으로서의 도취와 인간의 정열의 확대를 실천한다. 그레 이엄의 신체 개념은 인간의 내면을 드러내고 표현하는 방법과 기술 그리고 내면의 내용에 적절 한 구조의 발굴 등을 모두 포함하며, 단순한 전달의 도구적 기능에서 더 나아가 기술의 습득에 의해 내부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고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을 키워주는 신체, 즉 가벼운 춤의 상태를 이룬 짜라투스트라의 신체와 상통한다.영어 초록
The thesis discusses Martha Graham’s Dance influenced by philosophy of Nietzsche. According to Nietzsche, dance is a symbolic concept used for his philosophical logic. The dance symbolize freedom, eternity, the Dionysiac concepts. The dancer’s body not only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as the real and experiential, but also is a theme of Nietzsche’s thought. The thesis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one is to recognize the aesthetic of modern dance based on the philosophy of Nietzsche. The second one is to explore the artistic value and significance of Martha Graham dances. The third one is to find out the influential elements of Nietzsche’s thought appeared in Martha Graham dances. Exploring her subjective life, she communicates her own thought and aesthetic judgement. She creates movement vocabularies in her dance to which the verbal words are limited in expressive approach. Also she approaches to Dionysiac intoxication by dancing. Dancer’s body as instrument for Graham dance combines expressive techniques, method, function, formal structure and internal contents, which imply physical freedom by acquisition of proper techniques. The mission of human being lies in the completion of the self. For Nietzsche dance is such an accomplishment. The influence of aesthetics of Nietzsche can be found in the creative process and dancer’s body, also in the artistic life and the grace which is achieved after such a procedure.참고 자료
없음"한국무용기록학회지"의 다른 논문
- 무용에서‘실기에 기반을 둔 연구’에 관한 고찰 - 개념과 과정을 중심으로27페이지
- 창의적 무용교육의 미학적 분석15페이지
- 발레교육자의 전문성 개념 탐색을 위한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 분석25페이지
- 초등 무용창작수업 과정 연구 - 미국 뉴욕의 초등무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19페이지
- 볼룸댄스와 댄스스포트 교육 - 탄듀(Tendu)와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을 통한 룸바 기본동작 교육..27페이지
- 무용영재성 판별을 위한 선발모형 개발20페이지
- 무용인의 은퇴 의미 재탐색 및 필요 대책에 관한 연구23페이지
- 총체정보예술로서의 무용에 관한 고찰 - 윌리엄 포사이드의 <Synchronous Objects..21페이지
- 명무 하비홀릭족에 대한 한국무용 전공인의 의식조사17페이지
- 완벽주의와 무용 내적동기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