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만의 가곡에서 나타나는 조성의 순환관계: 《시인의 사랑》Op.48의 전조과정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음악이론포럼 / 22권 / 1호
ㆍ저자명 : 김자경
ㆍ저자명 : 김자경
한국어 초록
본 논문에서는 슈만의 연가곡 《시인의 사랑》Op.48에서 나타나는 조성의 순환을 전조의 관 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가곡의 조건인 단일조성이나 주제적 동기의 반복에 의한 음악적인 순환 및 일관성 있는 시적 내용이 있어야 한다는 두 가지 조건에서 볼 때, 슈만의 연가곡 《시인의 사랑》은 일관적인 시적 내용이 부족하지만 조성적 순환과 악곡간의 유기적 관계가 잘 나타나고 있다.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첫 번째, 악곡과 악곡을 연결해주는 방법과 개별 악곡 내에서 나타나 는 다양한 전조방법을 통하여 음악적 문맥을 더욱 명확하게 하였다. 두 번째, 연가곡 전체의 조성구 조와 개별 악곡의 조성구조의 유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슈만의 연가곡 《시인의 사랑》의 개별 악곡은 단일 조성구조와 장단조 혼용 조성구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악곡 간의 연결에서는 으뜸화음으로 시작하고 으뜸화음으로 끝나는 유형(T-T/T-T″)인 닫힌 형식 악곡과의 연결 및 으뜸화음으로 시작하지 않고 으뜸화음으로 끝나는 유형(X-T/X-T′), 으뜸화 음으로 시작하지 않고 으뜸화음으로 끊나지 않는 유형(X-Y)인 열린 형식 악곡과의 연결로 구분하여 전조방법을 살펴보았다.
악곡 간의 전조는 5도권조(버금 딸림조와 딸림조)와 3도권조(관계 장단조, 가온조, 버금 가온 조)인 근친조에 국한되어 온음계적 전조 및 반음계적 전조, 이명동음적 전조가 나타났다. 개별 악곡 에서는 근친조 및 원격조의 범위에서 온음계적 축화음 전조, 장단조 혼용화음 및 변화화음, 딸림화 음의 기능을 하는 2차적 화음인 부 딸림화음의 반음계적 축화음 전조와 이명동음적 축화음 전조, 동형진행적 전조 등의 전조방법이 나타났다. 또한, 연가곡 전체와 개별 악곡의 화성구조가 같고 전 조를 통한 조성방법이이 유사하다는 점을 통하여 연가곡《시인의 사랑》에서 나타나는 유기적 관계 를 찾을 수 있었다.
영어 초록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tonal organization of Schumann's song cycle, Dichterliebe op.48 with emphasis on its various modulations.As the attributes of a ‘song cycle' include; 1) a single tonality and musical organization by repetition of thematic motive, 2) unifying features such as recurring motive or consistency deriving from a coherent poetic context, the analysis Schumann’s work can be made by its features. One can conclude that though the poetic contents of Schumann's song cycle Dichterliebe op.48 may lack consistency, it is apparent that the closely related keys of its individual songs form a cyclic relationship, and the songs are connected through various modulation techniques.
The focus of this article lies on enlightening the musical context of Dichterliebe op.48, by analyzing how connections are made between musical pieces, as well as observing various modulation techniques manifested in each piece. Another focal point that should be recognized in this paper is the organic relation formed in the song cycle by its individual songs. This was elaborated by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tonal organization of each separate song and that of the entire song cycle.
This article categorizes the individual songs consisting Dichterliebe op.48 into two structures, one being 'a single tonal structure' and the other referred to as 'a mode mixture tonal structure'.
For further scrutiny, the paper has also divided the modulation methods by its form. The three categories are as follows: 1) the T-T(T-T") type: the song begins and ends with a tonic, 2) the X-T(X-T') type: the song begins with a tonic and ends with a parallel key of the tonic, 3) the X-Y type : the song neither starts nor ends with a tonic.
The types of modulation revealed in Dichterliebe op.48 also varied. Modulations were progressed within limited boundaries, i.e. the Circle of Fifths (dominant and subdominant keys), the Circle of Thirds (related keys, median key, submedian key), and thus accordingly appeared in the form of diatonic modulation, chromatic modulation or enharmonic modulation. The modulation methods used to connect individual songs feature a limited range of keys-starting from relative keys to remote keys, as well a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diatonic pivot cords, mode mixture chords, Neapolitan chords, Augmented 6th chords, and chromatic pivot chord modulation using secondary dominant and enharmonic pivot chords. In addition, the use of chromatic common tone modulation for 3rd related keys and mode mixture chord for Neopolitan keys are noticeable within individual songs.
Through this study, The organic relationship has been derived from thorough analysis of the song cycle, the analysis indicating that the tonal structure of each individual song and that of the song cycle are similar, and the modulation techniques applied are alike. Thus, these similar techniques and structure have resulted in creating a cyclic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