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불교문예연구 / 9권
ㆍ저자명 : 남영록
ㆍ저자명 : 남영록
목차
Ⅰ. 서 론Ⅱ. 불교적 소재의 표현적 특징
Ⅲ. 결 론
한국어 초록
박생광은 서양문물의 유입이 시대적 문화현상으로 받아들여지던 시기에 한국의 전통 소재와 색채미를 통해 현대한국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대표적인 화가이다.그는 1920년대부터 시작된 일본 유학생활과 광복 후의 한국생활, 이후 재 도일을 거쳐 1977년 한국으로 영구 귀국한 후 1985년생을 마감하기까지 8년간의 기간 중에 보여준 다양한 소재(불교, 민화, 무속, 역사)를 통해 자 신만의 민족적 화풍을 이룩하였다. 이러한 민족적 화풍은 국내에만 갇혀있 던 보수적인 한국화가 새로운 모습으로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밑바탕이 되 었다.
본 연구는 박생광이 1977년부터 1985년까지 불교 소재를 통해 완성된 작품들을 분석하고 종교적 소재가 순수회화에 도입되어 작품성을 인정받게 된 경위와 평가에 대해 연구했다. 이를 위해 박생광이 불교 소재로 작품화 하게 된 사상적 배경을 탐구하고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의 표 현적 특징을 연구하여 밝혔다. 이를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그의 작품 이 다시 한 번 변모하는 계기가 된 1982년 인도여행 이전과 이후를 시대구 분으로 나누고 주제구분, 색채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박생광은 불교 소재를 통해 자신의 심상세계를 표현하면서도 그 속에 한 민족 저변에 깔려있는 국태민안, 기복사상 등을 담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작품화하였다. 이러한 박생광의 과감한 실험적 작품들은 광복이후 지지부진 했던 한국의 전통적인 미감을 시대적 미감에 맞게 재해석하는 문제에 새로 운 이정표가 되었으며 90년대 이후 출현한 젊은 작가들에게 신선한 충격과 용기를 주었다. 이후 한국화는 현대화 운동에 급격히 접어들면서 화단도 한 국 전통의 소재와 정신을 통한 다양한 현대적 실험(소재, 기법, 재료)이 이 루어 졌으며, 이를 토대로 현재(2010년대)의 한국화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영어 초록
Park Saeng-kwang was the central painter who showed the new possibilities of modern Korean painting through traditional Korean subject matter and colors, at the time whe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was embraced as a cultural phenomenon.Park studied in Japan from the 1920s until Korea’s liberation, and achieved his own national painting style through diverse subject matter (Buddhism, folk paintings, shamanism, and history) during the eight years after his permanent return to Korea in 1977 following his visits to Japan, until his death in 1985. His national style of painting has been the basis for giving the world a new look at traditional Korean painting, which had been confined to Korea.
This study analyzes works with Buddhist subject matter completed by Park Saeng-Kwang from 1977 to 1985 and examines the process and evaluation leading to the recognition of religious subject matter's introduction in fine arts. For this purpose,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how Park Saeng-Kwang came to work with Buddhist subject matter was research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 the works based on such ideas were explored. For more detailed examination, the research was separated into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his trip to India in 1982, at which time his works transformed once more in terms of subject matter and colors.
Park Saeng-kwang expressed his worldview through Buddhist subject matter, as well as working in accordance with modern sentiments and Koreans' beliefs in national prosperity and the welfare of the people, and the prayer for good fortune. The bold, experimental works of Park Saeng-Kwang have become a milestone in the reinterpretation of contemporary aesthetics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Korean aesthetics, which had stalled after independence, giving fresh impact and courage to young artists who emerged after the 1990s. Since then, Korean painting has rapidly moved toward experimentation (with subject matter, techniques, and materials) in a modern sense through the traditional materials and spirit of Korea, leading to the present (2012) form of Korean painting.
참고 자료
없음태그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
- 관음보살의 천태선적 이해31페이지
- 관계중독에 대한 자기치유 고찰 - 관무량수경 16관법 중 보수관(寶樹觀)을 중심으로 -32페이지
- 이규보 시론의 특징과 그 시적 변용의 미학29페이지
- 차크라명상을 적용한 정신건강 프로그램20페이지
- 차크라명상을 적용한 정신건강 프로그램20페이지
- 종교인구 감소의 종교사회학적 의미와 불교계의 과제37페이지
- 동아시아 삼국의 전통지화 비교 고찰27페이지
- 근대 불교의례의 변화와 시대적 의미31페이지
- 조선전기 수륙재의 내용과 성격―천도의례(薦度儀禮)의 성격 및 무차대회(無遮大會)와의 개념적 차별성을..46페이지
- 근현대 한국불교 예송의례의 아우라 ―전승과 변용의 변증법―3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