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숭아순나방 성충 복부에서 발현하는 불포화효소의 RNA 간섭과 교미교란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응용곤충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56권 / 1호
ㆍ저자명 : 김규순, 정충렬, 양창열, 권기면, 김용균
ㆍ저자명 : 김규순, 정충렬, 양창열, 권기면, 김용균
한국어 초록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두 가지 주요 성페로몬 성분(Z-8-dodecenyl acetate and E-8-dodecenyl acetate)을 갖고 있다. 이 성 페로몬 성분의 생합성 과정 분석은 포화지방산의 10번 탄소에 이중결합을 합성하는 불포화효소(Δ10 DES)가 종 특이적 광학이성체 형성에 필수 적이라고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효소의 분자적 특징에 대해서 분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샘의 전사체에서 Δ10 DES로 추정된 불포화효소(Gm-comp1575)의 단백질 기능 영역을 분석하였다. Gm-comp1575 유전자는 370개의 아미노산 서열 정보를 암호하고 있으며 분자량은 약 43.2 kDa 그리고 등전위점(pI)은 8.77로 추정되었다. 이 불포화효소는 4개의 막투과영역을 지니고 있으며, 6개의 탄수화물 결합 위 치가 아미노 말단과 세포내 영역에서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자계통분석은 Gm-comp1575가 다른 종에서 알려진 Δ10 DES와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Gm-comp1575 전사체는 암컷 성페로몬 샘 및 다른 복부 조직에서 발현되었다. 이 유전자 발현에 대한 RNA 간섭 처리는 처녀 암컷으로 하여금 사과원에서 수컷을 유인하는 능력을 크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Gm-comp1575가 복숭아순나방의 성페로몬 생합성과 관련 이 있는 유전자라고 제시하고 있다.영어 초록
Two major sex pheromone components (Z-8-dodecenyl acetate and E-8-dodecenyl acetate) are known in the peach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From a putative biosynthetic pathway of these sex pheromone components, delta 10 desaturase (Δ10 DES) has been proposed to play a crucial role in synthesizing a species-specific stereoisomer of the double bond. However, its molecular identity was not known. This study determined a putative desaturase (Gm-comp1575) as a Δ10 DES candidate from G. molesta transcriptome constructed from the sex pheromone gland. Its open reading frame encodes 370 amino acid sequence with a predicted molecular weight at 43.2 kDa and isoelectric point at 8.77. It was predicted to have four transmembrane domains and six glycosylation sites at N-terminal or cytosolic domains. A phylogenetic analysis with its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 indicated that Gm-comp1575 is closely related with known Δ10 DES genes of other insects. Gm-comp1575 transcript was detected in female adults at sex pheromone gland and other abdominal tissues. RNA interference of Gm-comp1575 significantly reduced attractiveness of virgin females in apple orchard compared to control fema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m-comp1575 is associated with sex pheromone biosynthesis of G. molesta.참고 자료
없음"한국응용곤충학회지"의 다른 논문
- 비선형 곤충 온도발육모형의 특성과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18페이지
- 노린재류의 알에 기생하는 Trissolcus 속(벌목: 납작먹좀벌과)의 숙주6페이지
- 폴리드나바이러스 유래 CpBV-ELP1 발현 담배의 내충성10페이지
- 뿔나방과의 3미기록종 보고4페이지
- 한반도 동부 농업생태계에 따른 지표배회성 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 비교11페이지
- 호박꽃과실파리의 트랩형 수컷박멸제 기반 기술 개발10페이지
- 잣나무림에서 천공성 딱정벌레 군집에 관한 연구9페이지
- 공단지역 주변 소나무림의 솔잎혹파리 형태적 특성5페이지
- 한국산 다듬이벌레목의 분류학적 정리8페이지
- 가장 큰 한국산 털날개나방(나비목: 털날개나방과)의 발견3페이지